▲ 2013~2018년 7월 말 기준 국내 자동차 화재 발생 현황. 자료=소방청 (단위: 대)

[이코노믹리뷰=장영성 기자] 자동차 화재 문제가 연일 논란입니다. 특히 BMW 4기통 디젤 엔진 화재 문제를 두고 여론과 소비자가 논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화재는 BMW뿐만 아니라 모든 국산차와 수입차에서 나고 있습니다. BMW만 언론이 집중 보도하는 것을 두고 언론을 비판하기도 하고 전체 등록대수 중 화재건수를 비교했을 때 BMW가 1만대당 1.5건으로 가장 높다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습니다. 두 논리는 모두 사실에 근거해 논리의 명분이 있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자동차화재는 연평균 5000건이 발생합니다. 하루 평균 14건 이상 화재사고가 일어나는 셈입니다. 화재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은 전기나 기계 결함에 따른 사고가 총 54.9%를 차지해 가장 많습니다. 전기 요인은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절연열화에 따른 단락, 과부하·과전류,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등입니다. 기계 요인은 과열·과부하, 오일·연료누설, 노후 등이 있습니다. 전기·기계 결함 뒤를 이어 부주의 16.5%, 미상 12.9%, 교통사고 10.6%, 방화 2.9% 등이 주요 화재원인입니다.

전체 화재건수에서 수입차가 비율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2015년 9.2%, 2016년 10.1%, 2017년 10.4%에서 올해 11.8%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국산차는 2015년 90.8%에서 올해 88.2%까지 떨어졌습니다.

▲ 국내 자동차 화재 요인별 비중. 자료=소방청

이러한 전체 화재건수 비율 변화는 국내 자동차시장 판매 비율과 궤를 같이합니다. 1987년 한 해 10대(점유율 0.004%)가 팔렸던 수입차는 수입국 다변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2012년 10.1%(13만858대)를 기록하며 두 자릿수 반열에 오릅니다. 2015년 점유율 15%(24만3900대)를 넘어선 수입차는 2016년과 2017년 각각 14.36%(22만5279대)와 15.23%(23만3088대) 점유율을 기록합니다. 수입차 업계는 올해 디젤 게이트에 휩싸인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돌아오면서 20%에 가까운 수입차 점유율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산차는 수입차에 밀려 내수 판매가 주춤하고 있습니다. 2009년 약 145만대를 팔았던 국내 완성차 업체는 2013년 149만대로 소폭 늘어납니다. 이후 2014년 162만대, 2015년 187만대, 2016년 188만대, 2017년 184만대에 그칩니다. 

수입차는 2009년 6만993대에서 지난해 23만3088대를 팔며 282.1% 엄청난 성장률을 보였으나, 국산차는 같은 기간 145만2411대에서 184만1298대가 판매되며 26.7%의 대비되는 성장을 나타냅니다.

▲ 2009~2017년 국내 자동차 시장 국산·수입차 판매량.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입차협회

그런데 이런 판매대수와 관계없이 BMW를 포함해 모든 자동차는 화재 가능성이 있습니다. 화재를 막기 위한 사전 조치에 따른 리콜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국토교통부 통계를 보면 올해 8월까지 화재 위험으로 리콜을 명령을 받은 차종은 50여종입니다. 리콜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차량부터 시작해 BMW, 아우디폭스바겐, 벤츠, 재규어, 포드, 혼다 등 수입차까지 다양합니다. 이들 브랜드 자동차의 화재 가능성도 연료 누유, 엔진오일 누유 등을 비롯 엔진 제어 불량에 따른 부품과열, 에어컨 배수 결함에 따른 전기단락 등 여러 결함이 있습니다. 

이처럼 브랜드별 판매대수 대비 화재건수를 놓고 이번 논란을 따지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화재 원인을 발견했다면 이후 국가나 브랜드의 조처입니다. 이러한 조처만 따지고 보면 BMW는 ‘늑장 대응’을 하긴 했으나,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은 칭찬받을 만 합니다.

중요한 것은 BMW의 진단 과정입니다. BMW가 화재 원인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수입사가 불법 행위를 했느냐입니다. 제품 문제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불법이 있다면 이에 따른 법의 처벌을 받고, 사후 조치와 별개로 소비자에게 보상하면 됩니다. BMW가 사후 조치를 얼마나 신속하게 해결하는지도 관건입니다. BMW는 오는 20일까지 긴급안전진단을 모두 마치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BMW가 필요한 부품을 빠르게 공급해 소비자를 안심시킬 수 있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자동차 화재를 바라보는 국내 시각은 ‘통계 수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이 내놓는 통계는 '면피용 자료'에 불과합니다. 대부분 자동차 업체들은 연간 화재 건수가 평균에만 들어맞으면 마치 화재에 책임이 없다고 선을 긋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는 외부 충격이 아니라면 화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가 있는데도 말입니다.

자동차 화재가 하루 평균 14건이 일어난다면 BMW 이외에 다른 자동차 업체들도 적극 문제를 조처해야 합니다. 관심조차 받지 못하는 화재 경험자들은 발화 원인조차 모르니 제조사는 소비자 과실로 치부해 버립니다. 그저 소비자는 억울함 호소합니다. 이 때문에 리콜 제도의 허점을 보완한 '검증제'를 도입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원인을 제대로 진단해야 문제를 예방한다는 의미입니다. 화재 원인을 알아야 소비자가 향후 업체에 문제를 대응할 수 있습니다. 현재 연간 5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동차 화재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화재에 잠재 노출된 사람들을 국가가 적극 보호에 나서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