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성규 기자] 미국의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강력한 재정정책을 바탕으로 경제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연방준비제도(Fed)가 자산매각 속도조절 가능성도 제기된다. 보유채권 축소로 지준이 예상보다 빠르게 줄면서 단기 금리 상승 압박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초과지준금리 조절을 통해 정책유연성을 제고할 것이란 주장이다.

11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5% 이상 오를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을 판단 근거로 제시했다.

일각에서는 다이먼 회장의 발언을 ‘희망사항’이라며 비판한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JP모건의 수익성(예대마진) 개선에도 일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Fed가 보유한 채권 규모를 보면 다소 일리가 있는 전망이다.

딕 보브 힐튼캐피털매니지먼트 애널리스트는 미국 CNBC 기고를 통해 다이먼 회장의 전망이 타당하다고 전했다.

Fed는 올해와 내년에 각각 350억달러, 500억달러의 자산을 줄이기로 했지만 계획대비 그 규모가 더디게 축소되고 있다. 긴축 속도를 높여 목표를 달성한다면 시장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Fed는 1~5년물 만기 국채 대비 10년물 국채 자산 축소가 더딘 상황이다.

반면, Fed의 자산 매각이 쉽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단기 시장 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12월 Fed의 테이퍼링 선언 이후 2년물 국채 금리는 지속 상승하고 있다. 올해 들어 그 추이는 더 가팔라지는 모습이다. 같은 기간 10년물 국채 금리는 등락을 반복하다 최근 4년 전 수준(3%대)으로 올랐다.

▲ 미국 본원통화·Fed자산·초과지준 추이 [출처: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양적완화(QE)를 도입했다. 시장금리 조절을 위한 것이다. 정책금리가 제로(0) 수준까지 내려가면서 금리조절로는 장기시장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QE로 금리는 낮아지고 시장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은행의 대출은 늘고 자산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 일반적 이론이었다.

그러나 Fed는 당시 보험사 등이 보유한 국채를 매입하고 매입자금은 해당 보험사 등이 거래하는 은행의 지급준비금을 동일 규모로 늘렸다. 은행은 해당보험사의 예금계좌에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명시했다. 지급준비금은 은행의 대출재원이 아니다. 즉, QE와는 무관하게 유동성이 증가한 것이다.

한편, 상업은행은 Fed에 적립한 지준이 과다할 경우 초과분을 페더럴펀드(FF) 시장에서 운용하고자 한다. Fed가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초과지준이 이 시장에 몰리면 금리가 오히려 하락한다. 단기금리는 물론 장기금리 상승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Fed는 초과지준 자체에 금리를 부과하는 새로운 정책을 내놨다.

Fed가 지난 2016년 기준금리와 함께 초과지준금리를 올린 후 최근까지도 이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이유다. 은행입장에서는 Fed의 계좌에 자금을 두는 것이 FF시장에서 운용하는 것보다 유리하다. 이는 결국 Fed의 정책 유연성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연준의 보유채권 축소로 지준이 예상보다 빠르게 줄고 있다. 단기 금리 상승이 가파른 이유다. 이에 초과지준금리 부과를 통한 자산축소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운용역은 “금리상승은 미국 경제성장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이라면서도 “긴축에 대한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기물 매각으로 금리가 급등할 수 있지만 당장 미국 경제가 이를 지탱할지 의문”이라며 “Fed가 자산매각 속도를 조절해 ‘저금리’를 원하는 트럼프를 지원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