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semble 9399, 30×60㎝,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3

At first it was carefully experimentated by a few abstract artists, and it is only after the 1980s that it came to be fully expanded. While works of Korean paper in the 1970s were limited to negative experiments with existing Korean drawing paper, the works of the 1980s were, advanced to some positive experiments using the raw material of paper to plasticate.

현대미술, 그것도 특히 추상회화를 전공하는 극소수의 작가들에 의해 한지의 매재적 실험가능성이 조심스럽게 타진되기 시작했고, 80년대에 접어들어 본격적이고 광범위하게 파급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70년대의 한지작업(한지작가 박철,朴哲)이 기성의 화선지나 장지를 사용하는데 그치는 소극적인 실험이었다고 한다면, 80년대 이후의 양상은 직접 닥의 원료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실험으로까지 발전해 나갔다고 하는 점이 다른 것이라고나 할까.

To say strictly, Park Chul belongs to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paper works. It was in 1978 that he first started the frottage works with Korean drawing paper and cotton cloth. In those days, he was showing collectively the traces of triangles by scratching with his fingernails the Korean drawing paper on which Korean ink is soaked in various nuances of brightness. Some distinct traces appear when he covers the scratched traces with cotton cloth and taps.

화가 박철(한지부조회화 박철)은 엄밀하게 말하자면 한지작업(KORAN PAPER,HANJI ATIST,ARTIST PARK CHUL,한지화가 박철)의 2세대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가 화선지와 광목을 사용하여 프로타쥬 작업을 시작한 것이 78년도이니 어언 16년의 세월이 흐른 셈이다. 화선지에 다양한 명도의 뉘앙스를 지닌 먹물을 바르고 축축이 젖은 화선지를 손톱으로 긁음으로써 세모꼴의 흔적을 집합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당시 박철의 작업내용이었다. 그렇게 해서 긁혀진 흔적위에 광목을 덮고 두드리게 되면 선명한 흔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Ensemble 9393, 69×69㎝,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3

In his first one-man show in 1978, art critic Kim Bok Young referred to his works as follows. “The unique method of the artist invariably fits well with imaging the stains on glass. However, the final unit of pattern and the form shown from the collective whole bear more narratives than we first expected. It should be said that size relationship of unit patterns, impression from position or distance relationship, flatness by parallel method all contribute to the imaging of ‘something’.”

1978년, 박철 화가 첫 개인전에 부쳐 미술평론가 김복영은 다음과 같이 쓴 바 있다. “이 작가의 ‘찍기’법은 분명히 유리의 얼룩의 이미지화에 잘 들어맞는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나타난 패턴의 단위들과 이들의 집합적 전체가 보이는 형태는 처음의 의도에서 기대했던 것 보다는 한층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단위패턴의 대소 관계와 위치나 거리관계가 주는 인상과, 병렬방법에 의한 평면성은 모두 ‘무엇’의 이미지화를 위해 기여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제1회 개인전 카타로그 서문중에서>

from the critique of first one-men show That ‘something' referred to above is the prototype of image shown in picture plane and it may be the from of things or certain phenomena overlooked indifferently in daily life. For the artist himself, it corresponds to things such as water drops on glass window, foliage or window.

여기서 말하는 그 ‘무엇’이란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의 원형으로서 그것은 곧 ‘화가 박철’이 평소에 무심코 보면서 지나쳤던 사물들의 형태나 어떤 현상일 수 있다. 서양화가 박철(박철 작가,박철 화백,朴哲)의 경우에 있어서 그것들은 유리창에 얼룩진 물방울이라든지, 나뭇잎, 창문에 해당한다.

△Yoon Jin Seop, Art Critic/윤진섭, 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