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승현 기자] 고용쇼크가 지속되고 있다. 취업자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한계에 도달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업자는 6개월 연속 100만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생 72만2000명과 '그냥 쉬었다'는 12만9000명도 일이 없어 사실상 실업자나 마찬가지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실업자는 200만명에 육박한다.

▲ 실업자와 실업률 추이. 출처=통계청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6월 취업자는 2712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4%(10만6000명) 증가했다. 

올해 취업자 증가폭은 1월 33만4000명에서 2월 10만4000명으로 크게 줄어든 뒤 5월까지 10만명대 이하를 유지했다. 5월에는 7만2000명 증가로 10만명대마저 무너졌다가 6월 다시 10만명을 겨우 넘어선 것이다. 그래도 턱걸이 수준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5개월 동안 10만명대를 나타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를 나타낸 이후로 처음이다. 

올해 상반기 전체로는 14만2000명 증가해 반기별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하반기(-2만8000명) 이후로 가장 낮았다. 

고용 증가폭이 둔화된 것은 제조업 분야 고용 감소 영향이 컸다. 제조업은 4월(-1.5%), 5월(-1.7%)에 이어 6월에는 -2.7% 감소했다. 12만6000명이 줄어든 것이다. 교육서비스업에서 10만 7000명이줄었고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 4만 6000명이감소했다. 각각 5.5%, 3.3%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과 회복지서비스업(16만 2000명, 8.3%),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9만 4000명, 8.8%), 금융·보험업(6만 6000명, 8.4%), 협회·단체, 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4만 5000명, 3.7%) 등에서 증가했다.  

▲ 6월 고용동향.출처=통계청

통계청은 "제조업은 자동차, 조선업, 여성들이 많이 종사하는 의복 제조업 취업자 수가 침체를 맞으며 전반적으로 감소가 이어지고 감소폭도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일자리 증가폭이 둔화되면서 실업자수는 6개월 연속 100만명을 넘었다. 6월 실업자는 103만4000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6월에 비하면 2.5%(2만6000명)줄어든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남성은 60만3000명으로 4.3%(2만7000명) 줄었고 여성은 43만1000명으로 0.1%(1000명) 증가했다. 

20대를 제외한 30· 40·50대에서 모두 실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64세 고용률도 67%로 전년 동월 대비 0.1% 포인트 하락하면서 악화된 고용상황을 뒷받침했다. 고용률은 지난 2월 0.1% 감소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15~29세 청년 실업률은 9.0%로 전년 동월 대비 1.4%포인트 내려갔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0만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15만6000명) 늘었다. 남자가 559만6000명, 여성이 1040만4000명으로 남성은 2.9% 15만9000명 증가했으나 여성은 2000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음'이 7.9% 12만9000명 증가했다.

게다가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 등 취업준비'가 72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9%(5만3000명) 늘었다. 

빈현준 과장은 "20대 후반, 취업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연령대의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됐다"면서  "지난달에는 공무원 시험이 있어 실업률이 급등했는데 이달에는 시험이 없어 실업률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임금근로자 중에는 상용근로자가 36만5000명 증가했지만, 임시근로자는 13만명, 일용근로자는 11만7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성장률이 3.1%를 기록하고 올해는 그보다 낮은 3%가 예상되면서 일자리 창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최저임금 16.4% 인상으로 프랜차이즈업계를 비롯한 서비스업계가 고용을 기파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용 증가폭이 낮고 100만 실업자 군단이 줄어들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통계청은 악화된 고용지표의 대표 원인으로 인구 영향을 꼽았지만 설득력이 낮다. 15~64세 인구는 지난해부터 감소가 시작돼 전년 대비 1만명 감소했다. 2020년에는 24만명, 2024년에는 34만명 즐어들 것이라는 예상은 이미 나와 있었다.  

통계청은 "올해 1월달 제외하고는 전체 고용상황이 좋지 않은데 인구증가폭이 예전만큼 좋지 않은 구조적인 요인이 있다"면서 "인구 영향이 하반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경기 영향이 지금 같은 상황이면 지표가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