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민간 클라우드 시장만큼 공공 클라우드 시장도 중요하다. 경중을 따질 수 없을 정도로 모두 핵심적인 시장이라는 것에 이견의 여지가 없다.

글로벌 무대에서 공공 클라우드 업계의 존재감은 시간이 갈수록 날카로워지고 있다. 특히 미국, 영국 및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클라우드 우선 정책’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도입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디지털 혁신을 이루어 나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은 기존 IT 환경의 비효율적 예산활용과 시스템 취약성을 개선하고자 지난 2009년 The Federal Cloud Computing Initiative를 발표하며 새로운 청사진을 그렸다. 이듬해 Cloud First Policy를 통해 2015년까지 데이터 센터 800곳을 줄이기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클라우드 보안 인증 프로그램인 페드램프(FedRAMP)를 단행하며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활성화의 물꼬를 텄다.

▲ AWS 공공부문 서밋이 열리고 있다. 사진=이코노믹리뷰 최진홍 기자

금융업계의 클라우드 사용이 확산되는 점도 고무적이다. 캐피탈원(Capital One)과 같은 대형 금융회사와 나스닥과 같은 증권거래소의 경우 그동안 민감정보로 분류되었던 금융정보를 클라우드로 옮기는 움직임이 확산되는 등 금융업계의 클라우드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영국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009년 차세대 ICT 정책 방향이 담긴 보고서 ‘디지털 브리튼(Digital Britain)’을 통해 클라우드 도입 필요성을 제기하고, 2011년에는 Government Cloud Strategy를 발표하며 민간 클라우드 우선 정책을 도입했다. 현재 영국의 온라인 스토어인 디지털 마켓플레이스(Digital Marketplace)에는 2000여개사의 약 2만개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다.

일본도 원격의료 체계 수립, 공공기관 사이트 접속 폭주 방지, 정보시스템 손실 복구 등을 목적으로 클라우드 활용에 나서는 중이다. 2011년 대지진 이후 재난관리, 지자체 정보 공동활용 등을 위해 클라우드 적용을 강화하고 있는 분위기가 포착된다. 일본 정부는 i-Japan 전략 2015를 통해 정보시스템 효율화를 목적으로 클라우드 도입을 제시했으며 클라우드를 통해 자국 기업이 해외시장을 개척을 가속화 할 수 있다는 전제로 정부가 직접 나서고 있다. 일본은 공공분야에서 한국과 같은 정보 등급 규제의 영향 없이 클라우드 사용이 가능하다. 이미 2013년 아베 총리가 발표한 ‘Declaration to be the World’s Most Advanced IT Nation’은 현실이 됐다.

싱가포르도 공공부문에 클라우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대다수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편의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클라우드를 공공 서비스에 활용하는 분위기다. 싱가포르 토지청 주도로 개발한 위치정보기반 서비스 ‘원맵’은 위치·대중교통 검색, 내비게이션은 물론 약 80개 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지도 플랫폼 내에서 제공하며 오픈 API까지 제공하는 수준이다.

국립연구기관인 싱가포르 게놈연구소는 천문학적 비용과 오랜 세월이 걸리는 30억쌍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클라우드를 적용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핵심 연구에만 집중함해 궁극적으로 국민의 올바른 의료 관련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해외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용은 비용절감과 기능향상, 안정된 보안 인프라의 삼박자가 어우러진 결과다. 미국의 경우 금융당국인 FINRA에서도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고, 영국은 정보화 예산의 10% 이상을 클라우드에 지출하며 공공부문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호주 과세당국, 싱가포르의 Land Transport Authority도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도 정부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해 운영비용의 30% 이상을 절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의 일인자는 KT다. KT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모두 커버하고 있으며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다.

KT와 더불어 눈길을 끄는 공공 클라우드 부문의 강자는 NBP(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이다. 지난해 7월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상품을 출시하며 승부를 걸었다. NBP의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는 대국민 서비스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 노하우와 기술이 탑재됐다는 설명이다. KT의 공공기관 전용 상품과 비교해 약간 늦은 시기 출시됐지만, 외연 확장 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벌써 전략물자관리원, 코레일 등을 고객사로 삼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LG CNS도 지난 3월 ISMS를 획득했으며 SK C&C, 삼성SDS, NHN엔터테인먼트도 모두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민간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이 자연스럽게 공공 클라우드 시장으로 넘어오고 있다. 이들 모두 ISMS를 획득했다. 여기에 AWS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등도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정부는 현재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클라우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2009년 12월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하며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으며 2016년에는 금융권의 클라우드 사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개인신용정보를 제외한 비중요정보시스템에 대해 클라우드를 사용하도록 허용했다. 올해 1월에는 과학기술정통부가 K-ICT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시행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금융-의료-교육 분야 규제 개선과 핀테크 업체의 클라우드 이용을 장려하기로 하는 추가 대책을 내놨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말까지 공공부문 40%를 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공공의 영역에서 클라우드가 적용되면 정부의 비용절감은 물론, 공공 서비스의 질적 향상도 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