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성규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미 금리차도 0.5%포인트로 확대됐다. 국내 금융시장에서 곧바로 자금유출이 발생하진 않겠지만 그 가능성은 더욱 커진 셈이다.

Fed가 연내 4회 금리인상을 고수한 만큼 향후 한국은행의 대응에도 관심이 쏠린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한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다.

Fed는 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시장의 관심사였던 점도표에 반영된 올해 금리인상 횟수는 중앙값 기준 3회에서 4회로 상향 조정됐다.

내년 인상 횟수는 3회를 유지했으며 2020년에는 기존 2회에서 1회로 하향 조정했다. 단기간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임을 공식화한 것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Fed가 기존의 점진적 금리인상 기조는 유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명목 중립금리 전망치가 2.875%에서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3월 이후 물가 전망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았다고 말했다.

성명서 발표 후 상승하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소폭 오름세로 거래를 마쳤다. 30년물 금리는 오히려 하락했고 달러 인덱스도 내림세로 전환했다.

 

모호한 한은의 메시지...깊어지는 고민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2일 창립 기념사에서 하반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뚜렷한 메시지는 전달하지 않았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는 수요 측면 물가상승압력이 아직 크지 않아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면서도 “이 과정에서 금융불균형이 커질 수 있는 점 긴 안목에서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영 여력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해석이 엇갈렸다. 기존 스탠스 대비 매파적이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반면, 대내외 불확실성을 더 염두에 둔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3월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이후 국내 시장에서 자금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은이 향후 FOMC의 결과를 확인한 후 금리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한은의 통화완화정책 기조와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한·미 기준금리차가 더욱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향후 국내 시장으로부터의 자금유출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 흐름에 역행하기 어려운 만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아졌다.

한은이 금리를 인상하는 것도 쉽지 않다. 국내 가계부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뾰족한 대응방법이 만큼 한은의 고민이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