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견다희 기자] 화불단행(禍不單行)이란 이를 두고 하는 말인 것 같다. 한꺼번에 재앙이 겹친다는 이 말은 요즘 자영업에 딱 맞는 말이다.

자영업은 저성장 기조에 따른 소비위축, 포화상태 속의 과당경쟁 고착화, 청탁금지법과 최저임금 인상에 이어 직장인 회식을 없앨 공산이 큰 주 52시간 도입 정책 등 사방에 깔린 악재로 발목이 잡힌 형국이다. 임대료 상승과 카드수수료 부담 증가 등은 자영업자를 괴롭히는 만성질환이다. 우리 자영업은 한 마디로 사면초가(四面楚歌)에 고립무원(孤立無援)의 궁지로 몰리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진출로 자영업은 이미 포화상태다. 지난해 기준으로 자영업자는 568만2000명으로 전체 위업자(2672만5000명)의 21.3%를 차지한다. 취업자 다섯 명 중 한 명이 자영업일 정도로 자영업자가 많다. 이러니 치열한 과당경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는 이익축소로 돌아온다. 자영업자들이 쉬지 않고 일해도 손에 남은 돈은 전년과 비교해 고작 1% 늘었을 뿐이다. 한숨과 함께 절망의 눈물을 이들은 흘리고 있다.

문제는 저성장과 소비위축 등으로 대기업들이 구조조정의 칼을 휘두르면서 퇴출당한 근로자들이 자영업에서 돌파구를 찾으려 한다는 점이다. 이미 레드오션으로 변한 지 오래인 자영업에 뛰어드는 후발주자들은 물론, 기존 자영업자들도 피 튀기는 경쟁을 하다 다 같이 몰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정부가 선의로 시작한 정책이 예기치 못한 결과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완화를 위해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주 52시간 근로제를 도입하려고 하지만, 기대한 효과가 나타나기는커녕 근로자와 근로자들에게 기대어 사는 자영업자들에게 경제손실을 가져다 주고 있는 것이다. 도심 대형 오피스 빌딩 주변에서 영업해온 음식점 등 자영업자들은 회식문화의 실종에 따른 매출 감소 등을 걱정하고 있다. 이들은 최저임금 인상은 가족 투입, 시간 조절 등으로 대처할 수 있지만 근무시간 변경에 따른 사회 구조적 변화에는 속수무책이라고 하소연한다.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 효과가 90%라고 자평했지만 자영업자들이 분노를 감추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생존의 절벽에 내몰린 자영업자들의 돌파구는 무엇일까. <이코노믹리뷰>는 저성장과 소비침체 속에 최저임금 상승, 임대료 상승 등 온갖 악재에 고스란히 노출된 자영업자들이 생존을 위해 벌이는 사투(死鬪)의 현장을 둘러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