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박희준 기자]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와 중국의 불법조업과 남획으로 우리 연근해 수산자원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동호 농수축산신문 수석기자는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 발간하는 '나라경제 2018년 06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우리바다의 수용력이 한계를 보이고 있다며 주장했다.

그의 글에 따르면, 1986년 172만t을 기록한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30년이지난  2016년 93만t 으로 거의 절반 수준까지 줄었다.

양식어업은 환경오염의 역습을 받고 있다.  전남 완도군의 전복양식장은 어장환경 악화로 어린 전복 10마리를 입식하면 6~8마리가 죽는다. 제주의 넙치양식장에서는 어린 넙치 10마리를 입식했을 때 5~6마리가 죽는다.

어업인도 급격히 노령화하고 있다.  2017년 '한국선원통계연보'에 따르면 연근해어선원 1만4692명 중 50세 이상인 선원은 1만1440명인 반면 20대 선원은 96명에 불과하다.

어선 역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해양수산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연안어선의 17.53%, 근해어선의 33.74%가 선령 21년이 넘는 노후어선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향후 5년 이내에 연안어선의 27.02%, 근해어선의 15.15%가 노후어선이 된다는 것이다.

'나라경제'는 수산업은 도서지역과 연안어촌지역에서 가장 핵심적인 산업으로, 수산업의 생산기반이 붕괴될 경우 도서의 무인화, 어촌의 공동화를 초래하며,  생업의 터전이 무너지면서 도서지역과 연안어촌의 주민은 빠르게 지역에서 이탈할 것이고, 이는 곧 기본적인 정주인프라의 붕괴로 이어져 더욱 빠른 인구이탈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나라경제'는 사람이 빠져나간 도서지역과 연안어촌지역은 우리나라와 사회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과 행정비용으로 고스란히 돌아온다면서 일본 수산청이 수산정책을 단순히 수산업의 측면이 아닌 인구정책으로 종합적인 접근을 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