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성규 기자] 미국 중앙은행격인 연방준비제도(Fed)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인상은 기정사실화됐다. 시장의 관심은 향후 Fed가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완화적 입장를 취할지 여부다. 급진적인 정책 정상화는 달러 강세에 따른 미국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고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유출 등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Fed도 이를 의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점도표를 통한 완만한 금리상승 경로를 공표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속도조절론이 대두되는 가운데단기적으로 위험자산이 안전자산 대비 강세를 나타낼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룬다.

▲ 일부 비둘기파 점도표 하향 가능성 [출처:KB증권]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Fed는 오는 12~13일(미국 현지시각)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1.75~2.00%로 결정할 전망이다. 시장 컨센서스 역시 금리인상 확률을 100%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고용지표와 물가상승률은 연준의 목표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미 의회예산처(CBO)에서 추정한 미국의 자연실업률 수준은 4.62%다. 연준이 추정한 수준은 4.5%로 유사하다. 지난 5월 발표된 전체 실업률은 3.8%로 자연실업률을 하회하고 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물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이다. 노동공급보다는 수요가 풍족함을 의미한다.

Fed는 FOMC 성명서를 통해 미국의 고용시장이 “최근 수개월간 평균적으로 강하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평균적(on average)’이라는 문구를 삽입해 미국 고용시장이 안정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미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5%,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 2.1%를 기록했다. FOMC 의사록에는 ‘대칭적(symmetric)’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 물가상승압력이 부각되더라도 중기적으로 물가압력이 높지 않다면 금리인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금리인상, 속도조절 관건...점도표에 쏠린 눈

6월 FOMC에서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란 전망에 큰 이견은 없다.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점도표 상향여부다. 상향 가능성이 이전 대비 낮아졌으나 경기 개선세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Fed의 기조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미국을 제외한 여타 국가의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부터 각국 통화정책의 다이버전스 나타나고 달러인덱스는 반등한 이후 최근까지 강세를 보였다.

5월 FOMC 의사록 공개 이후 올해 4회 금리인상 가능성은 다소 누그러졌다. 하지만 경기지표 호조가 예상되면서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미국의 수입물가를 낮춤과 동시에 신흥국 등에서 대규모 자금유출을 촉발시킬 수 있는 '트리거(trigger)'다.

한편, Fed는 시장의 경기고점 논란도 의식하고 있다. 최근 일부 비둘기파 위원들은 내년 중반 기준금리 인상을 멈춰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점도표 하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단기금리 상승 속도를 늦추고 경기부양 및 인플레이션 상승 용인 등으로 장기금리를 띄우려는 목적이다. 장단기 금리 축소 속도를 늦추기 위해 재정확장정책을 반영해 중립금리 추정치를 높이는 방법도 있다. 다만, Fed의 의지만으로 중립금리 추정치를 높이기 어렵다. 더 강한 경기확장세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

6월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시장은 부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경기가 좋지 않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6월 FOMC에서 기준금리는 인상될 것”이라며 “다만 점도표를 통해 보다 완만한 금리인상 경로를 암시할 것을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어 “통화정책 정상화가 급진적이지 않음을 암시하면서 위험자산의 강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