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

[이코노믹리뷰=김동우 기자] 올해 1분기 소득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역대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상위 20%(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소득분배지표가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악으로 나빠졌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소득하위 20%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기준)은 128만67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줄었다. 이는 지난 2003년 소득분배지표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반면 1분기 소득상위 20% 가계의 명목소득은 1015만1700원으로 전년보다 9.3% 늘어 1분기 기준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에 따라 소득분배상황은 악화했다. 올해 1분기 전국 가구 기준 균등화 가처분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는 5.95배로 전년 5.35배보다 0.60 상승했다.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다.

가처분소득은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지출을 말한다.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소득상위 20%)의 평균소득을 1분위 계층(소득하위 20%)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 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소득 5분위 배율은 2016년 1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7분기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감소해 소득분배 개선세로 돌아섰으나 1분기만에 다시 역대 최악으로 악화했다.

1분기 가계소득(명목·2인 이상)은 476만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늘었다. 지난 2015년 3분기 이후 0% 증가율에 머물렀던 가구 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2년여 만에 2%대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4분기부터 3%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2.4% 늘었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4분기에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오다 9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소득유형별로는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320만4700원으로 1년 전보다 6.1% 늘어 지난해 1분기 0.8% 보다 증가폭이 크게 늘었다. 사업소득은 5.7% 늘어난 90만4800원을 기록했고 재산소득은 3.4% 늘어난 2만2300원을 기록했다.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보조하는 소득 등을 포함하는 이전소득은 58만9600원으로 12.4% 늘었고 비경상소득은 79.2% 줄어든 4만1500원을 기록했다. 

김정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고령화 추세에 따라 퇴직가구가 1분위에 많이 편입돼 1분이 소득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기상황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또 “상용직, 40~50대가 중심인 5분위는 임금인상 덕에 소득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면서  “최저임금 인상 영향은 전 분위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지, 특정 분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