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네이버가 9일 서울 역삼동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개선된 뉴스 개선 정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초유의 스포츠 콘텐츠 조작 사건에 이어 드루킹 사태로 네이버 댓글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자 언론사 콘텐츠 수급 전략을 대거 바꾼 것이다. 댓글 논란 자체가 네이버의 뉴스 콘텐츠 수급에서 기인했기 때문에, 구조적인 시스템을 바꾸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 한성숙 대표가 새로운 뉴스 개편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코노믹리뷰 최진홍 기자

뉴스 편집권 내려놓은 네이버...“모바일 화면 뉴스 제외”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플랫폼 사업자로서 구조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두겠다”면서 “네이버는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모바일 홈이 개편된다. 뉴스 콘텐츠가 노출되지 않으며 검색 중심의 화면이 재편된다. 한 대표는 “모바일 첫 화면에 뉴스가 배치돼 과도한 시선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네이버 PC에서는 뉴스 콘텐츠가 첫 화면에 뜨지 않는다. 다만 PC에서는 뉴스를 통해 기사를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모바일에서는 가칭 ‘뉴스판’이 등장한다. 모바일 첫 화면에서 옆으로 밀면 별도의 저장 카테고리가 등장하는 방식이다. 기존 검색 제휴 언론사는 해당되지 않는다.

뉴스판이 적용되면 트래픽 유입은 다소 떨어질 전망이다. 한 대표는 “트래픽 유입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얼마나 떨어질 것인지 예측할 수 없다”고 말해, 사실상 트래픽 하락에 무게를 뒀다.

한 대표는 “뉴스판의 편집은 네이버가 아닌 언론사가 100% 확보한다”면서 “광고 수익과 독자 데이터 모두 언론사에 제공한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가칭 ‘뉴스피드판’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화 뉴스 추천 기술을 이어간다. 이달 내 인공지능 헤드라인 추천과 개인 추천 관련 사용자 대상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구글의 아웃링크 도입을 적극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한 대표는 “원칙적으로 아웃링크에 찬성한다”면서 “도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일괄적인 아웃링크 적용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언론사와의 개별 협의를 통해 차근차근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웃링크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뉴스캐스트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아웃링크 적용이 이뤄지면 전재료 협상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지만, 언론사가 인링크를 택하면 전재료는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매크로와 뉴스 댓글 정책 추가 개편안도 나왔다. 이에 앞서 네이버는 새로운 뉴스 댓글 정책을 발표했다. 크게 4가지 정책이다. 먼저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가 50개로 제한되며 ‘(비)공감 취소’ 역시 해당 개수에 포함된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에 대한 제한이 없었으나, 이제는 동일한 댓글에 대해 기존과 같이 한 번의 공감/비공감만 가능하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차별 클릭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기존에는 하나의 계정으로 동일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는 20개였으나, 이제 3개로 제한된다. 또 연속 댓글 작성 시 댓글 작성 간격을 10초에서 60초로 확대하고 연속 ‘공감/비공감’ 클릭 시 10초의 간격을 새롭게 둔다. 이외에도 관심이 높은 댓글 정렬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이르면 5월 중순 추가 대책을 발표하며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 강화와 개인별 블라인드 기능 신설, 소셜 계정에 대한 댓글 작성, 공감/비공감 제한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9일 기자회견에서는 뉴스 댓글 정책의 전권을 언론사에 넘기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 대표는 “네이버의 뉴스 댓글 영역은 언론사가 댓글 허용 여부와 정렬방식 등의 정책을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여론조작에 악용될 수 있는 뉴스 댓글의 전권을 언론사가 책임지는 구조다. 매크로 공격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도 강화된다. 한 대표는 “정치 뉴스와 일반 뉴스를 분리해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셜 계정의 댓글 작성 제한, 동일 전화번호로 가입한 계정들을 통합한 댓글 제한, 반복성 댓글 제한, 비행기 모드를 통한 IP 변경을 막기 위해 통신사들과 협력하겠다는 정책도 나왔다.

뉴스 댓글 플랫폼에 강력한 규제를 집중한 지점이 눈길을 끈다. 기사 본문 하단 5개 댓글 노출 폐지와 댓글 모음 페이지에서만 댓글 보기, 최신순 정렬로만 보기가 적용된다. 뉴스 댓글에서는 소셜 계정을 통한 댓글 작성 제한, 동일 전화번호나 개인정보 기반 가입 계정에 대한 댓글 제한 정책 통합 적용, 동일 내용 반복성 댓글 작성 제한, 기사 작성 언론사가 댓글 정책 선택, 댓글 작성자 프로필 강화, 특정 댓글 작성자 차단 및 팔로우 기능을 구현한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기사의 댓글은 최신순으로만 정렬한다는 방침이 눈길을 끈다. 최근 자유한국당을 중심으로 네이버를 여론조작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분위기를 의식해, 기계적인 중립을 지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 대표는 “3000만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모두 동일한 뉴스를 보고, 모두 동일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보는 지금의 구조로는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힘들어졌다”면서 “뉴스 편집 방식을 버리고 공간과 기술만 제공하는 역할로 물러나, 네이버 본연의 모습인 정보와 기술 플랫폼에서 새로운 답을 찾을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다.

▲ 네이버가 새로운 뉴스 정책을 발표했다. 출처=네이버

예상 넘어서는 파격의 연속

인공지능 기반의 가칭 뉴스피드판은 여전히 뉴스를 추천한다. 네이버 직원이 아닌, 네이버 인공지능이 편집하기 때문에 네이버가 뉴스 편집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표는 “회사의 경쟁력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 추천 기능은 포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네이버가 다양한 포럼이나 외부 위원회를 통해 댓글과 뉴스 콘텐츠 제휴 권한을 제공한 상태에서, 지금 ‘모든 것을 포기하겠다’고 말한다면 정책의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대표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동안 협력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가칭 뉴스판은 기본 설정이지만, 다른 ‘판’처럼 이용자들이 이동을 선택할 수 있다. 기존 채널뉴스의 이동이 유력하다. 가이드라인 설정을 전제로, 전재료를 받는 CP(콘텐츠 프로바이더) 언론사도 아웃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한 대표는 “네이버와 언론사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모바일 화면의 뉴스 콘텐츠를 배제하는 등 파격적인 정책이 등장한 이유에도 시선이 집중된다. 한 대표는 “정치권의 압박이 아니라 네이버가 결정했다”면서 “이번 논란을 해결하지 못하면 네이버의 발전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모바일 첫 화면의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다”면서 “검색 중심으로의 구성에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를 둘러싼 논란은 댓글 조작에서 시작됐다. 네이버는 3월 댓글 정책을 발표하며 논란을 잠재우려고 했으나, 플랫폼 공공성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가 제기되며 상황은 꼬이기 시작했다. 네이버가 댓글 정책을 넘어 언론사와의 콘텐츠 수급 전략을 바꾸며 국면전환에 나선 이유다.

네이버 사태를 통해 언론사, 특히 CP 언론사의 이중성도 여실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댓글 문제에서 촉발된 논란이 플랫폼 공공성으로 번지자 CP인 대형 언론사들은 일제히 뉴스 아웃링크 방식을 제안했다. 플랫폼 공공성을 상실한 네이버를 믿을 수 없다는 대의명분을 걸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작금의 논란을 기회로 삼아 네이버에 빼앗긴 뉴스 콘텐츠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의지가 깔렸다는 것이 중론이다. 네이버의 검색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지만, 유통 주도권은 가지겠다는 발상이다.

전문가까지 내세워 아웃링크를 주장한 대형 언론사들은 네이버의 설문조사 하나에 주춤했다. 네이버가 70여개 대형 언론사에 아웃링크 의향을 묻는 의견서를 보내며 전재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하자, 대형 언론사들은 전재료가 아쉬워 일제히 아웃링크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유봉석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70여개 대형 언론사에 아웃링크 의향을 묻자 70%가 회신을 보냈고, 단 1개 언론사만 아웃링크에 찬성한다고 밝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