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국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지만 그에 걸맞은 고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용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내수경기 활성화 ▲정부의 민간 고용창출 ▲제조업의 신성장 산업 발굴 ▲취업훈련, 전업지원 등 산업별 대응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2일  '산업별 고용의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생산은 2013년 이후부터 회복세가 이어졌고 2015년 중반 정점을 기록했으며 현재 비슷한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취업자 증가율의 장기추세는 전기대비연율 기준으로 2013년 초 1.8% 수준이었지만 계속 낮아지며 1.0%까지 하락했다. 

▲전산업생산은 증가하지만 취업자증가율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출처=현대경제연구원

최근 세계경제 개선, 반도체 등 주력품목 호조 등 수출이 경제를 회복시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월 신규취업자는 2655만5000명으로 1년전 보다 11만2000명늘었다. 실업률은 4.5%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상승했다. 

산업생산은 건설업, 보건·복지, 금융·보험업 등이 크게 늘고 있다. 숙박·음식점, 전문과학기술, 교육업 등은 부진하다. 

상대적으로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많이 하는 제조업은 반도체 산업의 수출 수요가 커져 생산 증가는 계속되는 추세지만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자동차, 조선업 등 산업 구조조정으로 취업자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제조업 생산증가율은 증가하지만 취업자 증가율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출처=현대경제연구원

건설업, 부동산임대업에선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지만 산업경기가 2016년 말 이후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했다.  이에 따라 취업자 증가율은 일정 시차를 가지고 위축될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도소매업, 숙박·음식,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은 최저임금 인상을 적용 받는 취업자가 많이 분포한다는 점을 이유로 앞으로 고용 축소와 사업체 퇴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현대경제연구원은 분석했다. 

복지에 대한 수요 증가와 고령 여성층이 노동 시장에 새로 진입하며 산업 고용 증가를 견인하던 보건·복지업에서는 고용증가율이 빠르게 둔화했다. 증가율은 2013년 초 5.8%에서 2016년 중반 7.3%로 정점을 기록하고 최근 6.6%로 둔화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경기가 좋아지며 고용창출이 같이 좋아지기 위해서는 투자, 수출, 기업 실적 개선이 가계 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채널을 확대해 내수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면서 "고용창출력이 좋은 서비스업에 금융지원,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의 고용시장 방향은 민간 고용 창출을 키우는 것에 집중해야 하며, 제조업은 규제 개혁, 신성장 산업 발굴 등을 통해 고용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정부는 창업과 스타트업을 장려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 하고 고부가가치 부문에서 새로운 창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연구원 측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