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스마트팜 확산 방안' 추진계획을 발표했다.(출처=픽사베이)

[이코노믹리뷰=최재필 기자] 정부가 '스마트팜' 확산을 본격화한다. 스마트팜 연관 산업 일자리 4300개 창출,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 양성,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 조성 등이 핵심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스마트팜 확산 방안'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팜(Smart Farm)은 농업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원격 및 자동으로 관리하는 지능화된 농장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시설의 온도·습도·일조량·이산화탄소량·토양을 자동으로 측정·분석해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 생산성과 효율성,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실제 농식품부에 따르면 스마트팜 도입 시 생산량은 27.9% 올라가고, 고용노동비와 병해충·질병 비율은 각각 16%, 53.7%씩 감소했다. 

◆스마트팜 확대→혁신성장 선도사업

이번 방안은 기존의 농가 단위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확대해 혁신성장 선도사업으로 선정한다는 게 특징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한 중점 추진 과제로 △청년 창업 △산업 인프라 구축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등을 꼽았다.

▲ 스마트팜 확산 방안 추진계획.(제공=농식품부)

우선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청년 예비창업자들이 스마트팜 산업에 유입될 수 있도록 교육·자금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놨다.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을 신설해 2022년까지 전문인력 600명을 양성한다.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을 스마트팜 창업으로 유도하기 위해 임대료만 내고 사용할 수 있는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30㏊도 2021까지 조성된다.

자금도 지원한다. 1인당 최대 30억원 한도 내에서 연금리 1%에 대출지원을 하는 '청년 스마트팜 종합자금' 운영하고, 7월에는 창업 5년 이내 사업체에 투자하는 농식품 벤처펀드(2018년 125억원)도 결성된다.

◆산업 인프라 구축 통해 '한국형 프리바' 육성 

기자재 표준화, 빅데이터, 연구개발(R&D) 등 산업 인프라를 구축해 스마트팜 국산화율을 높이고 '한국형 프리바(Priva)'를 육성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프리바는 세계 최고 수준의 온실 환경제어 시스템을 생산하는 네델란드 기업이다.

이를 위해 연구부터 연구부터 제품테스트, 창업·전시·체험 기능을 갖춘 '스마트팜 실증단지' 구축이 추진된다.

'스마트팜 실증단지'는 민관 공동연구가 이뤄지는 연구단지다.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스마트팜 연구개발을 체계화하고 산업화·기술 수출 등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농식품부, 농진청 등 정부 부처 간 연계와 협업을 통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을 위해 기업·연구기관·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스마트팜 수출연구사업단'도 운영키로 했다.

▲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팜 단지와 청년 창업 보육센터, 실증단지 등이 결합된 '스마트팜 핵심밸리' 4곳을 조성키로 했다.(제공=농식품부)

◆'원스톱 스마트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청년 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이 한 곳에 모인 대규모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2022년까지 전국에 4개소 조성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를 의미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으로 지난해 기준 시설원예 4010㏊, 축사 790호인 스마트팜 규모가 2022년까지 7000㏊, 5750호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스마트팜 규모 확대에 따른 연관 산업 성장으로 4300여개의 일자리도 조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