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이코노믹리뷰=김동우 기자] 글로벌 금융·통화정책 정상화로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마이너스 금리와 양적완화 정책으로 신흥국에서 부채가 크게 늘었고 이는 유동성 축소 시기에 급격한 자금 유출입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신흥국 발 부채 위기 오나?’라는 보고서에서 GDP 대비 부채가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더 큰 폭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신흥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지난해 3분기 기준 38.9%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3분기 대비 19.3%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75.7%에서 76.2%로 늘어나는 데 그친 선진국보다 증가속도가 빨랐다. 신흥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08년 56.2%에서 지난해 104.3%로 48.1%포인트 확대됐지만 선진국은 같은 기간 86.8%에서 91.7%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이 마이너스 금리, 양적 완화 정책을 펼치며 신흥국 위주로 글로벌 유동성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민간신용이 급격히 확대돼 위험 국가로 분류된 국가는 홍콩, 중국, 스위스, 싱가포르 등 16개국이었는데, 이중 12개국이 신흥국이었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신흥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는 2009년 99.1%에서 2017년 143.2%로 44.1%포인트 확대됐고, 같은 기간 선진국의 민간부채는 오히려 8.4%포인트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이번 조사에서 고위험 국가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GDP 대비 부채비율이 세계 평균과 과다부채 임계치를 상회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를 94.4%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판단하는 GDP 대비 가계부채 임계치 75% 대비 19.4%포인트가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2008년 이후 지난해까지 20.5%포인트 확대됐다. 증가 폭 역시 분석 대상 43개국 중 노르웨이(30.8%포인트), 중국(29.6%포인트), 태국(23.8%포인트), 스위스(22.9%포인트)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한국은 기업부채 역시 세계 평균은 물론 과다 기업부채 임계치(80%)를 상회하는 99.4%로 나타났다.

박 연구원은 “한국은 가계부채를 중심으로 신용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이후 각 및 기업 등 경제주체에 이자가 부담으로 작용해 소비와 투자심리 악화 등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통화정책 정상화로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 할 경우 신흥국에서 급격한 자금 유출입을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 이는 세계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또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글로벌 공조 강화를 위한 노력과 동시에 가계 및 기업부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 신용리스크 확대가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내수와 외수 균형 성장을 통해 대외리스크에 강한 경제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 경제는 단기외채, 보유외환, 국가신용등급 등 대외부문뿐 아니라 재정수지, 정부부채 등 대내 부문 건전성 지표를 양호하게 관리해 외부 충격에 강한 펀더멘털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