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경매매물이 사라진 데 이어 지난달 경매 낙찰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금리 상승과 대출규제 등이 종합적으로 이어지면서 부동산 매수심리가 사라지면서 경매시장 역시 투자자들이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13일 지난달 전국 법원경매 낙찰건수는 3067건으로 경매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1년 1월 이후 역대 최저치라고 밝혔다. 낙찰건수는 올해 1월부터 3838건, 2월 3213건으로 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진행건수는 8566건으로 전월 대비 462건이 증가했다.

진행건수의 증가와 낙찰건수의 하락은 낙찰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3월 낙찰률은 전월대비 3.6%포인트 하락한 35.8%에 그쳤다. 낙찰률이 35%대에 머무른 것은 2014년 12월 이후 3년3개월 만이다. 이후 줄곧 40%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8.2대책 이후인 9월 달부터 낙찰률이 30% 후반에 진입한 후 7개월 만에 35%대에 진입한 것이다.

지지옥션 이창동 선임연구원은 “낙찰률 감소는 시장에 대한 매수 심리 감소로 해석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대책이 매수심리 감소에 영향을 미쳤고 최근 들어 이 같은 감소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평균 낙찰가율은 72.9%로 전월 대비 1.5%포인트 올랐다. 지난 2월 큰 폭으로 하락했던 서울 및 경기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평년 수준을 회복했다. 남부지방 토지 낙찰가율이 상승하면서 낙찰가율이 전반적으로 오른 것으로 전문가들은 바라봤다. 실제 물량이 가장 많은 지방도 지역인 전남, 경북, 제주 등의 토지 낙찰가율은 100% 이상을 기록했다. 전국 토지 낙찰가율이 76.9%인 것과 비교하면 지방 토지 낙찰가율이 30%포인트 가까이 높은 셈이다. 광주의 경우 토지 낙찰가율이 119.7%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한편 3월 총 낙찰액은 8379억 원으로 전 월대비 360여억 원 증가했다.

한편 서울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지난달 상승하며 101.6%를 기록했다. 단독과 다가구, 연립·다세대 등 주거시설 모든 용도 낙찰가율이 올랐다. 서울에서 가장 많은 응찰자가 몰린 곳은 용산구 문배동 소재 이안용산1차 아파트 85㎡로 32명이 응찰해 감정가의 130%인 7억6600만 원에 낙찰됐다. 주거시설과 다르게 상업시설은 수요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상업시설 낙찰가율은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70%를 기록했다. 169건이 경매가 진행됐지만 이중 58건 만이 낙찰됐다. 최고가 낙찰 물건은 강남구 도곡동 소재 우성리빙텔 주상복합 상가로 감정가의 72%인 66억에 낙찰 됐다. 강동구 명일동 소재 근린상가 경매에는 10명의 응찰자가 몰리면서 감정가의 96%인 45억 원에 낙찰이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