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1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광화문 광장 개발 방안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이코노믹 리뷰 정경진 기자)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광화문 일대가 도로가 사라지고 현재보다 4배 넓어진 시민 광장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교통 체증 해결이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서울시와 문화재청은 1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대회의실에서 ‘새로운 광화문 광장 조성 기본계획’을 발표, 광화문 광장을 세종문화회관 방향으로 확장해 2만4600㎡ 규모의 역사 광장이자 시민 광장으로 재구조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광화문 앞을 가로지르는 사직·율곡로 자리에는 4만4700㎡이 역사광장이 만들어진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광화문광장 면적은 기존 1만8840㎡에서 6만9300㎡로 3.7배 넓어진다. 역사광장은 경복궁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월대와 해태상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광화문 광장을 재구조화해서 시민 중심의 대표 공간으로 조성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사람 중심의 보행공간으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교통체증 문제, 차량분산만으로 가능한가

문제는 세종대로가 10차선에서 6차선으로 축소가 된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서쪽 폭 20m인 7차로를 없애고 동쪽도로로 합치기로 했다. 미국 대사관과 KT(한국통신) 광화문 사옥 쪽은 폭 20m인 6차로가 된다. 현재 편도 6차로가 왕복 6차로로 바뀌는 것이다. 광화문 앞을 지나는 사직로는 현재 왕복 10차선이지만 광화문 역사광장이 들어서면서 일부 구간이 사라진다. 사직로 차로는 새문안로5길과 연결돼 ‘T’형에서 ‘ㄷ’형으로 바뀐다.

세종대로 차량이 줄어들면서 통행 가능량은 3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 교통체증이 우려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서울시는 우회로를 확보해 차량 흐름을 분산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시내 남북측 도로와 주변 지역 교차로를 개편하고 차량 운전자가 진입하기 전에 미리 우회도로를 안내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계 반응은 회의적이다. 평일 기준으로 율곡·사직로에는 시간당 5100대의 차량이 지나간다. 세종대로 역시 시간당 5300대 차량이 통과한다. 우회도로를 만든다고 해도 교통체증을 피할 수 없을 뿐 더러 도로의 축소로 접근성이 낮아진다.

한양대학교 이창무 교수는 “광화문 일대에는 국가 중심의 시설들이 많기 때문에 접근성 보장이 필요하고 세종시처럼 전국에서 많은 사람이 오는 만큼 차량을 이용할 수밖에 경우가 많다”며 “현재도 광화문 앞 일대는 필요시 도로를 폐쇄하고 이벤트성 광장으로 사용이 되는데 도로를 없애고 상시적인 광장으로 이용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 대안은...당장 시행어려운 '광역철도'

서울시측에서는 우려되는 교통 체증 해결의 열쇠로 광역철도 사업을 연계해 광화문 일대에 역을 신설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현재 서울시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노선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신청해놓은 상태다.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노선은 GTX A노선(파주~동탄)과 일부분 공용 노선을 취하기 때문에 타당성이 통과될 경우 광화문 일대에 역을 신설할 수가 있게 된다. GTX A노선이 광화문 인근을 지나가기 때문이다.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노선이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지 못한다면 GTX A노선에 광화문 일대에 역을 신설하는 방안도 건의할 계획이다. 다만 현재까지 민자 사업자가 선정되지 않은데다 국토교통부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랜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가 내놓은 GTX A,B,C 노선 완전개통은 이르면 2025년이다. 

서울시는 광역철도 교통망을 활용해 역을 신설하게 된다면 교통체증을 해결하고 나아가 녹색교통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란 입장이다.

이강수 서울시 도시재생본부 광장계획팀장은 “현재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BRT)와 함께 친환경적이고 더 편리한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한편 광화문 광장 계획은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앞 정부서울청사로 옮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마련된 만큼 2021년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본격화되면 대통령 집무실 이전도 청와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