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4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로 대거 주택 자산을 처분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주택을 비롯해 부동산부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마땅한 투자처가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1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올 1분기 누계 거래량은 3만5295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만5799건) 대비 223% 증가했다. 양도세 중과를 피하기 위해 다주택자들이 대거 부동산거래에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부활 내용을 포함한 ‘8·2 부동산 대책’ 이후인 2017년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84만6547건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67만9590건) 대비 24% 증가했다.

문제는 투자자들이 주택을 팔고 난 이후 생긴 여유자금이 갈 곳을 잃었다는 점이다.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권강수 이사는 “최근 강남권 다주택자들 위주로 주택을 매매 한 뒤 상가 등 다른 투자처를 알아봐달라는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주택용이 아닌 상가 및 토지 등으로 시중 유동자금이 흘러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 2월까지 거래된 토지거래량은 총 199만9161필지로 전년도 같은 기간(177만2533필지) 대비 13% 올랐다. 상업용 부동산 및 상가로도 투자 문의 역시 늘었다.

상가정보연구소 이상혁 연구원은 “상가투자 설명회를 열면 많게는 200여명 가까이 몰린다”며 “주택투자가 어렵다 보니 과거보다 상가 등 비주거용 부동산 상품으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중소형빌딩 매매기업 리얼티코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50억 원 이하인 꼬마빌딩 거래건수는 총 32건으로 전체 빌딩 거래량의 65.3%를 차지했다. 매수자 비중 역시 81.6%로 법인(18.4) 대비 무려 4배가 많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년 사이에 개인 거래비중(66.7%)이 15.9%포인트 늘었다. 거래 큰 손으로 개인 투자자가 등극한 것이다.

우리은행 양희관 부동산투자지원센터 팀장은 “꼬마빌딩은 매물이 없어서 거래가 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라며 “강남 서초나 세로수길 등은 지가상승이 꽤 높다보니 시세차익을 노리고 상가주택 등을 노리고 있는 매수세력들이 있다”고 말했다.

인근 공인중개사에 따르면 강남구 도산공원을 중심으로 양 옆으로 길이 형성된 세로수길의 경우 상가주택이 3.3㎡당 거래금액은 7000만~8000만 원에 형성돼있다. 2016년 5000만 원대였던 것에 비하면 최근 2년 사이 3.3㎡당 2000여만 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비주거용 상품 투자 역시 쉽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3월부터 부동산임대업 대출에 대해 RTI(이자상환비율)가 도입 됐기 때문이다. RTI는 연간 부동산 임대 소득을 연간 이자비용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해당 임대업과 관련된 대출뿐만 아니라 임대 건물의 기존 대출 이자비용까지 모두 합산한다. 비주택은 RTI 125%를 지킨 경우에만 신규 대출이 가능하다. 즉, 연간 부동산 임대소득이 이자 비용보다 1.25~1.5배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RTI 도입으로 인해 대출은 까다롭고, 한도 또한 줄어들게 됐다.

만약 15억 원 짜리 상가를 구매할 경우 종전에는 9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RTI도입으로 최대 대출한도는 7억~8억 원으로 줄어든다. 자기부담금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최근 중국인 관광객 감소 및 최저임금제 시행 등으로 상권 경기가 악화되면서 투자가 쉽지가 않은 것이다.

한국감정원 상업용 부동산 소규모 상가 지난해 4분기 공실률은 4.4로 지난해 1분기 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서울의 경우 3.3으로 역시 1분기(2.9)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중대형 상가의 경우 지난해 서울권 4분기 공실률은 7.0으로 1분기 보다 0.5포인트 확대됐다.

이상혁 연구원은 “주택으로 더 이상 투자가 어렵게 되자 비주거쪽으로 눈길을 돌리지만 RTI도입으로 인해 비주거부동산 투자 시장이 달아오르지 못하고 있다”며 “상가는 다른 부동산보다 경기 침체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