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홍석윤 기자] 유럽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소시에테 제네랄(Societe Generale)의 로렌조 비니 스마기 회장은, 세계 양대 경제국 간의 무역 다툼으로 인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가 금리를 예상보다 빨리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CNBC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마기 회장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개발포럼(China Development Forum)에서 가진 CNBC와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미국에 인플레이션을 가져와 금리를 더 빨리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국 알루미늄 및 철강 수입에 대한 두 자리수 관세 부과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최대 600억 달러의 관세가 미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가격이 상승하면 소매 업체는 비용 증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소비자 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이는 연준의 통화 긴축 사이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준은 지난 주 금리를 0.25% 인상했으며 올해 안에 3번 이상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강해지면 연준의 계획도 바뀔 수 있다.

스마기 회장은 "이 경우, 미국에 두 가지 나쁜 점이 생길 수 있다"면서 "우선, 높은 관세와 강한 인플레이션 그리고 높은 금리가 미국 경제에는 반드시 좋다고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관세는 달러 약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무역 조치는 경제적인 이유뿐 아니라 정치적 동기가 있다는 것이다. 즉 트러프의 표밭 지지세역을 결집시킨다는 목표가 있다고 스마기 회장은 지적했다.

"오는 11월 중간 선거가 있고, 지난 펜실베이니아 중간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했습니다. 상황이 트럼프에게 좋지 않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약속한 것을 지킴으로서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싶을 것입니다.”

▲ 소시에테 제네랄(Societe Generale)의 로렌조 비니 스마기 회장      출처= 블룸버그 캡처

[미국]
■ 므누신 美 재무, “한미FTA 완벽한 윈-윈”

-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선데이에 출연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대해 “한국과 미국 양국이 매우 생산적인 이해에 도달했다”며 “완벽한 윈-윈”이라고 평가.

- 한국이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막아냈다며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미국 내 분위기도 나쁘지 않다는 뜻.

- 또 이번 한-미 FTA 재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 25% 부과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한 대신 한국산 철강재의 대미 수출 규모를 2015~2017년 평균(383만톤)의 70%(268만톤)까지만 허용하도록 쿼터를 설정.

- 한국과의 철강 관세 합의는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이정표가 될 가능성이 높아. 미국 정부는 관세 부과가 유예된 캐나다와 멕시코, 유럽연합(EU),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에 대해서도 쿼터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

- 트럼프 정부는 미국 안전 기준만으로 한국에 수출할 수 있는 미국차 물량을 2만 5000대(제작사별)에서 5만대로 늘림으로써 자동차 부문에서도 ‘정부로서 해줄 수 있는 소임은 다했다’는 명분을 챙겨. 아울러 미국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픽업트럭 시장 방어에도 성공.

■ 美대학생 10명 중 2명 “학자금 대출로 가상화폐 베팅”

- 미국 대학생 10명 중 2명은 대출받은 학자금으로 가상화폐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 미국 대학생 대출정보 웹사이트인 ‘스튜던트 론 리포트’가 지난 16~20일(현지시간)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는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21.2%가 대출금 일부를 가상통화 투자에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것.

- 보고서는 “은행들은 대부분 학생이 요구하는 금액 이상을 빌려준다”면서 “나머지 금액을 학생들에게 환불 수표로 보내주고, 학생은 이 돈을 원하는 곳에 사용한다”고 말해 사실상 채무자가 남은 돈을 어디에 사용하고 있는지 증명할 시스템이 없다고.

- 보고서는 또 “많은 학생들이 남은 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화폐 투자를 선택했다”며 “학생이 자신의 대출금을 가상화폐에 투자하고 돈을 잃는다면 또 빚을 져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며 우려.

- 한편, 칼리지보드에 따르면 2016~2017학년도 미국 학부생들은 평균 4600달러(약 500만원)의 연방정부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것으로 조사돼.

[중국]
■ 中 만만디 전략, 장기적 관점서 무역갈등 대응

- 중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징벌적 관세 부과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응해 무역 갈등을 해소하겠다는 작전을 세우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25일(현지시간) 보도.

- 중국은 미국의 무역 제재에 같은 방법의 맞대응을 꾀하면서도 상황 악화는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 다만 현재로선 시진핑 국가주석이 제시한 대로 2050년까지 중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만든다는 장기적 전략 목표를 추진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

- 한 중국 정부 고위 고문은 "시 주석과 중국은 미국을 대할 때 무역보다 더 큰 의제들을 가지고 있다. 무역은 사소한 사안에 불과하다"며 "대대적 무역 전쟁을 시작하는 건 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해.

- 이 소식통은 중국이 앞으로 6개월 안에 미국에 대한 제조상품 부문 흑자 3750억 달러(약 405조 5600억원)를 줄이고 새로운 시장 개방 조치도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

- 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실제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단행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에 대한 경제적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고 전해.

■ "中 작년 블록체인 특허 출원 가장 많아, 전체 중 절반 이상"

- 중국이 작년 가장 많은 블록체인 기술 특허를 출원하면서 블록체인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 톰슨 로이터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406개 블록체인 관련 애플리케이션(앱) 특허 출원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이뤄졌다고.

- 중국은 지난해 225건 블록체인 특허를 출원했으며 미국 91건, 호주 13건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수치. 중국은 이미 2016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블록체인 관련 기술 개발에 앞장서기 시작. 중국이 2016년 59건 관련 특허를 출원했을 때, 미국과 호주는 각각 21건, 19건 출원에 불과해.

- 블록체인 앱 특허는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 거래에서부터 닭 유통을 추적하는 분산 원장까지 모든 곳에서 사용돼. 중국 기업들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베이징 기술 개발이 주도하는 블록체인 특허 9개 중 6개 개발에 참여하며 공동 대응하고 있어.

- 톰슨 로이터의 실용법 편집자인 아렉스 배터슨은 “기업들은 기술이 사업화되기 훨씬 이전부터 아이디어를 보호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인다”며 모든 특허가 곧 사업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특허 데이터가 산업 활성화의 지표이자 진입장벽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

- 외신들은 중국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지원하면서 관련 기술 개발도 늘었다고 분석. 중국 정부는 최근 블록체인 국제 표준 수립을 위한 장기 계획을 공개하기도.

[일본]
■ 日 카드사, 자사 카드로 암호화폐 매입 금지 나서

- 미국과 영국 은행이 신용카드로 암호화폐 매입을 금지한 데 이어 일본 신용카드 업체도 유사한 조치를 잇따라 도입하는 추세.

- 일본의 유력 카드회사 JCB는 자사 발행 카드로 암호화폐를 구입하는 것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NHK가 25일 보도한. 지난 1월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에서 발생한 580억엔 부정 유출사고 등을 감안한 결과라고.

- JCB는 암호화폐 교환사업자와 가맹점 계약을 맺지 못하도록 하고 또 해외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가맹점을 모집하거나 관리를 하는 제휴업체와도 계약을 체결할 수 없도록 한다는 방침.

- 미쓰비시 UFJ 니코스도 자사 카드로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없게 하는 방안을 검토중. 라이프 카드도 암호화폐 교환회사와 가맹점 계약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 앞서 영국 최대 은행인 로이즈뱅킹그룹은 지난달 5일(현지시간)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신용카드로 사는 것을 금지했다고 발표한 바 있어. 미국에서도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씨티그룹, JP모건, 캐피털원, 디스커버 등 주요 신용카드 회사들도 금지 조치에 동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