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동우 기자]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분야로 친환경차가 떠오르면서 수소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는 수소차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해 수소 충전소 설치 등 인프라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국과 함께 수소차의 연구개발에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받는 일본은 도쿄올림픽 개최 전까지 충전소 160개소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수소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조건으로 꼽힌다. 한국에서 더 이상 늦어진다면 경쟁국에게 미래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넘겨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5일 토요타는 혼다와 닛산, JXTG, 이데미쓰흥산, 이와타니산업, 도쿄가스, 일본정책투자은행 등 11개사와 공동으로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水素ステ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수소차 인프라 구축 치고 나간 ‘일본과 중국’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는 일본 내 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해 설립됐다. 일본에서 수소 충전소의 건설비는 1개소당 4억엔에서 5억엔(약 40~50억원)이 소요된다. 이 중 절반 정도를 일본 정부에서 부담하는데, 수소 스테이션 네트워크는 나머지 자금의 조달과 건설부문의 지원 등을 맡게 된다.

일본 정부는 현재 92개소가 있는 수소 충전소를 4년 내에 2배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 이전까지 충전소를 160개소로 늘리고 수소차도 4만대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무인 충전소의 허가와 수소압축에 사용되는 기계의 단가 조절 등의 규제완화도 추진한다. 아울러 기존 휘발유 주유소에 수소 충전소를 병설하는 것을 허가하는 법률 개정안도 검토되고 있다.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일본 경제산업성 수상도 “지금이 수소사회 실현의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인프라 확대와 지원금 등을 통해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도 수소차 시장을 넘보고 있다. 중국 정부는 한국과 일본보다 뒤늦게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적극적으로 수소차를 지원해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충전소를 1000기 이상 확충하고 수소차를 100만대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독일 국가프로젝트 ‘CEP(Clean Energy Partnership)’는

자동차 강국인 독일에서는 독일은 국가프로젝트인 CEP(Clean Energy Partnership)를 통해 수소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독일은 수소를 미래 핵심 에너지원으로 보고 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경제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이미 지난 2008년 수소연료전지협회(NOW)가 출범했으며 수소 에너지와 관련한 교통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지난 2015년에는 수소 충전소 설치를 위한 민간 출자회사 H2Mobility Deutschland(H2M)가 설립됐다. 에어리퀴드와 린데, 다임러, 쉘, 토탈, OMV 등 대기업 6개사가 참여한 H2M은 오는 2023년까지 300개소를 건설해 2023년까지 수소 충전소 400기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독일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9개 고속도로를 연결해 독일 전역을 수소차 운행권역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7개 대도시에 수소 충전소를 최대 10기씩 구축하고 이들 도시를 잇는 고속도로에 90㎞의 이격거리를 둬 구축한다. 부지 선정의 경우 기존 가스사가 수소충전소 설치 가능한 부지 리스트를 제공한다.

준비 안 된 한국, 경쟁 뒤처진다

한국은 지난 2013년 현대차가 투싼ix35를 공개하면서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다. 지난 2월에는 차세대 수소차 넥쏘가 고속도로 자율주행에 성공하면서 수소 에너지에 대한 기술력을 다시 한 번 뽐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 구축이 늦어지면서 경쟁국에 수소차 주도권을 넘겨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정부에서 공격적으로 충전소 설치 등을 지원하고 있는 일본 등과 달리 국내 수소 충전소는 15개소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연구용으로 설치된 곳이 많아 일반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충전소는 8개소뿐이다.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던 수소복합충전소 사업도 백지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은 민간사업자가 수소충전소 사업에 나설 수 있도록 허용해 2025년까지 전국에 200개 충전소를 세운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기존 휴게소 사업자의 반발 등으로 무산됐다.

현대차가 정부에 적극적으로 인프라 확충을 요청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도 지난 1월 김동연 경제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충전소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의 의견을 산업부에서 진중하게 들어줘야 한다. 수소차에 관련한 기술은 거의 완성단계에 왔다”며 “이제 부족한 면이 있다면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