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질문]

“임원인 저와 일선에서는 전사적으로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회장님이 아직 이와 관련해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당장 관련 예산도 좀 책정받아야 해서, 저희 회장님을 직접 설득해 주실 수 있을까요?”

 

[컨설턴트의 답변]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컨설턴트의 도움을 받아 인하우스 임원들이 회장님을 직접 설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학문적으로도 ‘설득’이라는 것이 진짜 효과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회의가 있을 정도로 ‘설득’은 어렵고 복잡다단한 행위입니다.

그래도 제대로 전략을 짜 준비한 인하우스 임원들은 회장님과 인간적인 친근함이 우선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설득이라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외부에서 온 컨설턴트에 대해서는 회장님이 처음부터 낯설음을 경험하기 때문에, 컨설턴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 “회장님이 저희 임원들은 잘 믿지 않아도, 외부 전문가 말은 보다 쉽게 믿습니다”라고 하소연하는 임원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시 강조하는 것 같이 ‘전략적으로 잘 준비한 인하우스 임원들’이라면 그 낯선 컨설턴트보다는 더 나은 설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힘들다” “못 하겠다” “여러 이유로 좀 컨설턴트가 나서 줘야 한다”는 이유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이후 또한 몇 가지 ‘전략적 준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우선 임원들이 정확하게 위기관리 체계에 대한 시각과 범위 그리고 필요성에 대해 굳건한 공감대를 갖춰야 합니다. 임원들 스스로 회장님으로부터의 근본적 질문에 갈팡질팡하면 만사가 헝클어지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임원들이 협업해 컨설턴트가 회장님과 친분을 쌓을 수 있도록 일정 기간 지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해당 컨설턴트를 조찬 강의에 초청해 위기관리 이야기를 회장님과 임원들이 같이 듣는다든지, 자그마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컨설턴트를 위기관리 미팅에 조인하게 해 조언을 들어 보는 프로세스를 거쳐야 합니다. 결국 일정 기간 후 컨설턴트의 얼굴을 회장님이 알아보게 되는 수준까지는 되어야 하겠습니다.

셋째로, 처음부터 큰 제안을 받기보다는 조그마한 위기관리 체계관련 실행들과 준비들을 함께 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장님에게 보고하고 회장의 의견을 듣는 전초전을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회장님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트레이닝이나 위기관리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든지, 주요 부서별 시뮬레이션이나 일선 드릴을 진행하고 보고회를 가진다든지 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회장님이 컨설턴트의 존재와 수준 그리고 전략의 성격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나서야 임원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약간은 지루하고 오랜 노력을 경주해야 이룰 수 있는 복잡함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루아침에 무언가를 이룰 수 있는 왕도는 없다는 것을 먼저 이해했으면 합니다.

일반적으로 그런 조급함 때문에 외부 컨설턴트를 불러 직접 회장님이나 주요 임원들 앞에 세우고는 무언가 억지로 만들어 보려고 시도하는 임원들이 있습니다. 당연히 다른 임원들이 개념이나 방향성을 이해하지 못해 회장 앞에서 여러 노이즈를 내게 됩니다. 또 다른 생각을 하시는 회장님은 여러 기초적인 질문을 하고, 컨설턴트의 설명을 듣고는 이내 알았다는 수준에서 그치게 됩니다.

위기관리 체계 구축을 리드하고자 하는 임원에게도 회장님은 깊이 있는 질문을 할 것입니다. 그 질문에 대합 답변이 컨설턴트 수준이 되어야 회장은 해당 프로젝트가 제대로 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만약 해당 임원이 ‘그것은 컨설턴트가 알아서 할 것입니다’ 같은 답변을 한다면 되는 일은 없습니다. 우선 원한다면 컨설턴트와 구체적인 전략을 짜십시오. 설득 전략이 먼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