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허지은 기자] 연임을 앞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임과 기준금리 인상은 별개의 문제라는 입장을 내놨다. 기준금리는 경제전망 경로의 변화 여부를 판단해 신중히 조정해야 한다며 그간의 ‘신중론’을 재차 강조했다.

이주열 총재는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총재 연임으로 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을 총재 연임 여부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것은 정책 일관성 측면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다”면서 “금융통화위원회가 경기와 물가의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4월 금리 조정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 지난 1월 한은이 내놓은 ‘2018년 경제전망’ 이후 한국GM사태, 세이프가드를 비롯한 미국 보호무역주의 가동 등으로 국내외 경제 여건 변화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 총재 역시 “1월 이후 경제 전망경로에 영향을 미칠만한 일이 적지 않았다”면서 “다음 달 금통위에서 이를 반영한 경제전망 경로의 변화 여부를 다시 짚어볼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1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도 변수다. 이 총재는 “3월 FOMC 결과에서 향후 연준의 정책 방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에 따라 예상되는 영향도 가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 총재는 또 우리 경제가 당면한 다섯 가지 과제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범정부 차원의 보호무역주의 대책 마련, 신성장동력 발굴과 육성,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생산성 향상, 저출산 고령화 대응 등을 꼽았다.

그는 “제조업의 해외 이전,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구조적 요인이 고용창출을 제약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고용유발 효과가 높은 서비스업 부진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세도 둔화됐다”면서 “기업의 투자 및 창업 활성화를 통해 민간 부문 일자리 창출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범정부 차원의 보호무역주의 대응책에 대해서는 “통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관련국과의 교섭을 강화하고 필요시 세계무역기구(WTO) 등을 통한 국제 공조에 동참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신성장동력과 성장잠재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 산업의 고도화, 신산업 육성과 함께 규제 완화, 노동시장 효율성 제고, 기업구조조정 등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장기 과제로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일관성 있게 시행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