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개 권역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 계획. 출처=서울시

[이코노믹리뷰=김서온 기자] 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최종 완성해 8일 공고하고 본격 가동한다.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3~5개 행정동 단위)으로 세분화해 각각의 목표와 실천전략(총 493개 목표, 1126개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도시관리를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5개 권역(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로 제시했다.

또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과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권역생활권은 각 자치구별로 서울시 평균 보급률보다 낮은 시설, 지역생활권은 3가지 조건(▲지역주민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시설 ▲보행 10분 거리, 800m 이내 시설이 없는 경우 ▲서울시 평균보다 보급률이 낮은 시설)을 만족하는 시설을 각각 우선 확충이 필요한 대상으로 선정했다.

아울러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중에는 위치기반의 ‘생활권계획 홈페이지’를 오픈한다. 여기서는 시민 누구나 내가 사는 동네의 생활권계획을 지도에서 찾아보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4년 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 이며,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한 도시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없이 촘촘하게 담은 만큼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