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삼성전자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5일(현지시간) 상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9을 공개한 가운데, ‘스마트폰의 혁신’이라는 평가가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향 표준화가 이뤄지며 특별한 진화는 보이지 않는다’는 평가도 있다.

공개된 갤럭시S9의 가장 큰 강점은 카메라에 있다. 초당 960개의 프레임을 촬영하는 초고속 카메라 기능이 눈길을 끈다. 일반 촬영과 비교해 32배 빠른 것으로 약 0.2초 정도의 움직임을 약 6초 정도로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탈 스마트폰 카메라’ 기능이다.

카메라의 기본적인 기능도 후면 카메라의 경우 1200만 화소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이미지 센서를 탑재해 전작 대비 저조도 환경에서 이미지 품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는 설명이다. F 1.5 렌즈와 F 2.4 렌즈의 듀얼 조리개(Dual Aperture)를 탑재했다.

카메라 기능이 좋아짐에 따라 증강현실 이모지 기능도 선보였다. 애플 페이스ID를 통한 이모지 서비스가 2D에 머물렀다면, 갤럭시S9는 증강현실과 3D를 혼합하는데 성공했다. 올해 초 삼성전자는 갤럭시S9에 들어가는 모바일 AP인 엑시노스9810을 소개하며 “3D 스캐닝을 통한 정확한 안면인식이 가능하고, 별도의 보안 프로세싱 유닛(Unit)을 지원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갤럭시S9의 증강현실 이모지는 SNS를 중심으로 초연결 생태계 시장 첨병이 될 전망이다.

▲ 삼성전자 모바일 언팩이 열리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카메라 기능과 증강현실 경쟁력은 갤럭시S9을 통해 크게 강화됐다. 다만 그 외 경쟁력은 전작과 특별한 차이점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베젤리스 분위기가 더 심해졌으나 전체 폼팩터 기준으로는 큰 변화가 아니며, 그 외 방수방진과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사용 등은 모두 예상범주에 있다. 홈 화면을 가로로 쓸 수 있는 점은 전작과 차별점을 가지나 큰 틀에서 획기적인 변화라고 보기 어렵다. 삼성전자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통합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가 갤럭시S9에 들어가지만, 이는 커넥티브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삼성전자 전체 초연결 전략으로 봐야 한다.

덱스와 함께 덱스패드가 제공되어 모바일과 PC 연결고리를 강화했지만 이 역시 덱스의 사용자 경험 고도화 과정에서 등장할 수 있는 소품이며, 인공지능 빅스비는 비전 기능을 강조했으나 구글렌즈 이상의 가치는 보이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빅스비 2.0이 등장할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언팩에서 별도의 언급은 없었다. 미국의 ABC 뉴스는 “빅스비 비전은 구글 렌즈, 슈퍼 슬러우 모션은 소니, 증강현실 이모지는 애플의 서비스와 비슷하다”고 지적했으며 USA투데이는 “전작과 비교해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카메라 기능을 제외하고 소프트웨어 측면의 증강현실 이모지를 빼면 갤럭시S9이 전작과 뚜렷한 차별점은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지난해 상반기 갤럭시S8을 출시하며 베젤리스 인피니티 디스플레이에 인공지능 빅스비 등을 탑재하며 홍채인식 강화 등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대거 보강한 수준에 아직도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다만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며 프리미엄 스마트폰 폼팩터가 베젤리스, 인공지능 등 일종의 상향 표준화 분위기를 풍기는 현상을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6일 지난해 4분기 기준,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6% 하락한 4억800만대에 그쳤다고 밝혔다. 시장이 작아지고 있다는 뜻이며, 자연스럽게 프리미엄 스마트폰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베젤리스 등을 무기로 삼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일종의 상향 표준화를 거치며 특별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논리가 나오고 있다. 갤럭시S9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문제다.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온다. 당장 파괴적인 하드웨어 폼팩터 변화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자 경험을 키워야 한다. 갤럭시S9에 처음 탑재된 스마트싱스를 통해 가전 생태계로의 영역확장을 꾀하는 한편, 증강현실 이모지 기능을 빠르게 SNS 등 플랫폼에 탑재시키고 빅스비 2.0의 강점을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음으로는 파격적인 하드웨어 폼팩터 변화다. 삼성전자는 올해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지원되는 새로운 스마트폰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며 초연결 생태계를 인공지능에 중심을 둔 플랫폼으로 키우는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폴더블은 물론 필요하다면 롤러블의 가능성까지 열어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강력한 이미지 센서인 아이소셀과 같은 부품, 소재 기술 강화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