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구글이 지난 26일(현지시간) 지역 뉴스 제작 앱인 뷸러틴을 파일럿 출시한 가운데, 언론과 ICT 플랫폼 상관관계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문제는 지역 현안 발굴과 뉴스, 집단지성, 데이터 확보, 가짜뉴스 등 다양한 영역의 스펙트럼을 살펴야 하는 어려운 이슈다.

구글에 따르면 뷸러틴은 일반인이 시민기자가 되어 지역의 이슈를 발굴하고 기사를 작성해 사진과 동영상을 더하는 방식으로 공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마을의 도로가 붕괴될 경우 현지인이 직접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텍스트 콘텐츠와 함께 플랫폼에 송고할 수 있다.

아직은 파일럿 프로젝트다. 미국의 내슈빌과 오클랜드에서만 시범운영되지만 반응이 좋을 경우 서비스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최근 페이스북이 언론사 평가 시스템을 가동하는 하는 등 ICT 플랫폼과 미디어의 상관관계가 큰 관심을 받는 가운데 등장한 서비스라 특히 시선이 집중된다.

▲ 구글 로고. 출처=구글

반응은 엇갈린다. 먼저 뷸러틴을 통해 시민기자의 콘텐츠 파워가 등장하면 긍정의 언론환경이 구축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언론의 플랫폼 권력이 조금씩 해체되는 가운데 '신뢰'의 문제가 큰 화두로 부상한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일부 인터넷 언론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모든 시민의 기자화'가 구글의 손에서 현실이 되는 분위기다.

시민의 집단지성이 미디어 트렌드의 대안이라는 점에는 의견이 갈린다. 지역 현안 발굴에 따른 마케팅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지만 뷸러틴에 대한 환호가 전문 훈련을 받은 미디어에 대한 반발이 깔려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있는 가짜뉴스가 뷸러틴을 통해 무분별하게 유포될 소지도 있다. 미국 온라인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이라면, (구글의 뷸러틴 출시는) 적절한 대응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구글이 뷸러틴을 통해 지역 거점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포석을 깔았다는 주장도 있다. 구글 스트리트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성공한 구글이 시민기자라는 타이틀을 걸고 거점 데이터 확보에 나서면서 자기들의 플랫폼 영향력 확대를 노린다는 분석이다. 그 자체로 문제될 소지는 없지만 지난해 11월 구글은 안드로이드 이용자들의 선택과 무관하게 거점 정보를 무단으로 탈취,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도록 한 '전적'도 있다. 뷸리틴이 새로운 언론 실험과는 거리가 멀고, 단순히 구글의 상업적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