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상통화 투기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마련했다…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거래소 감시에 나섰다…

…코인마켓캡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가격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가상화폐(암호화폐∙가상통화)를 둘러싼 열풍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지칭하는 용어마저 제각각이어서 혼선이 생기고 있다. 가장 흔히 쓰이는 ‘가상화폐’에서 ‘암호화폐’, ‘가상통화’까지 명칭마저 하나로 통일되지 못 해 ‘중구난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9일 국내 포털에서 검색해본 결과 '가상화폐'라는 표현을 쓴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출처=네이버

언론이나 민간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용어는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다. 9일 기준 국내 검색 포털에서 가상화폐로 검색해 나오는 뉴스는 모두 4만 5951건으로 암호화폐(1만 2533건), 가상통화(2만 7367건)보다 두 배 가까이 많다. 가상화폐란 실체를 갖지 않은 가상의 화폐라는 뜻으로 해외에서도 ‘Virtual Currency’라는 말로 가장 흔히 쓰이던 용어다.

반면 정부가 사용하는 용어는 ‘가상통화’다. 가상통화의 영어명칭은 가상화폐와 같은 ‘Virtual Currency’지만 정부는 Currency의 뜻을 화폐가 아닌 통화로 해석해 사용하고 있다. 지난 2016년 11월 금융위원회 산하 ‘디지털통화 TF’라는 팀을 만들 때는 디지털통화(Digital Currency)라는 영단어를 사용했지만 내부 논의를 거쳐 Virtual Currency로 변경해 이후 가상통화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이후 가상통화라는 표현은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될 때마다 등장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가상통화라는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해오고 있었다”면서 “해외에서도 초기에는 다양하게 혼용되다가 최근 Virtual Currency로 통일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가상의 화폐로 이해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외 알트코인 등 현재 투자 열풍의 중심에 있는 코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이 암호화 기술이기 때문에 암호화(Crypto) 돼있는 화폐(Currency)라는 뜻의 암호화 화폐 혹은 암호화폐로 통칭하게 된 것이다.

가상화폐(가상통화)와 암호화폐의 차이점은 여기서 발생한다. 암호화폐는 용어 자체에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 들어있는 반면 가상화폐는 그렇지 않다. 블록체인 기술업체의 한 관계자는 “해외 컨퍼런스에 나가더라도 가상(Virtual) 화폐라는 용어는 쓰지 않고 암호(Crypto)화폐라는 용어로 통일돼있다”면서 “비트코인 등의 코인을 지칭할 때는 암호화폐라고 하는 것이 맞다고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 해외 포털에서 검색한 결과 암호화폐(Cryptocurrency)를 사용한 뉴스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구글

해외의 경우도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와 암호화폐(Cryptocurrency)가 아직까지는 혼용되고 있다. 해외 검색 포털에서 둘을 각각 검색해본 결과 전자는 193만개, 후자는 216만개로 비등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최근 뉴스의 비중을 보면 암호화폐(Cryptocurrency)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 초기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용어 간에 혼선이 생기는 것 같다”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용어는 자연스럽게 하나로 통일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