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이미지투데이

강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기온이 급감하는 겨울엔 동상(凍傷) 환자가 많다. 등산, 스키 등 겨울 레포츠를 즐기는 사람뿐 아니라 출퇴근하는 직장인이나 등하교하는 학생들도 동상에 걸리기 쉽다.  이 때 피부가 얼어 어딘가 얼얼한 느낌이 들 때 실내에 들어가자마자 따뜻한 난로나 온풍기에 손을 무턱대고 대는 사람이 많은데, 이 같은 행동은 동상에 걸린 조직에 2차 손상이 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동상, 혈관수축으로 '혈액순환' 안 돼 발생

동상은 섭씨 영하 2~10도의 심한 추위에 피부가 노출됐을 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추우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류가 감소돼 피부의 체온 유지에 필수인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동상에 걸리는 부위는 신체 말단인 손가락, 발가락, 귀, 코 등이다.

심한 동상에 걸리면 부종과 수포가 올라오거나, 피부가 괴사해 인체 말단을 절단해야하기도 하지만 요즘처럼 실내가 따뜻하고 옷의 보온성도 높아진 시대에는 이 같은 사례는 적다.

오히려 가벼운 동상을 자가 치료하다가 입을 수 있는 2차 조직손상이 위험하다고 의료진들은 입을 모은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흔한 증상, 피부 '무감각'…마른 열로 해동 피해야

동상에 걸렸을 때 가장 흔한 증상은 절반 이상이 ‘무감각’이다. 가볍게 눌렀을 때 평소와 다른 느낌이 들거나 아무런 감각이 없거나, 살짝 찌릿하다면 이미 동상을 입은 것이다. 동상을 진단하는 정확한 방법은 없기 때문에 일반인은 자신의 상태가 가벼운지, 병원에 가야하는 상태인지 알기 힘들다.

언 부위를 쉽게 녹이기 위해 실내에 들어가자마자 뜨거운 난로나 온풍기에 손을 직접 갖다 대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또 손을 비벼 마찰로 열을 내는 것은 2차 조직 손상을 불러올 수 있다. 동상을 입은 부위를 해동할 때는 마른 열보다는 적당히 미지근한 물에 해동하는 것이 제일 좋다. 또 젖은 옷을 입었다면 바로 벗어줘야 한다.

한갑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양말이나 장갑 등이 젖었다면 해당부위의 온도를 더욱 빨리 낮춰 동상에 걸리기 쉬워지므로 즉시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동상에 걸렸을 때는 불을 쬐는 등의 급격한 온도변화보다는 37~39도의 따뜻한 물을 이용해 서서히 따뜻하게 해야 2차적인 조직손상을 막을 수 있다”면서 “동상의 정도가 심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