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opfen(021709)_diameter 121㎝_Acrylic on canvas_2017

 

Other circles in a circle, here, [The gate of time] with dense spokes in between, looks like the sun. That revolves around the orbit of eternal recurrence that existed before human being and will exist after human history. Such event in spatial level repeats also on the earth.

원 가운데 또 다른 원들, 그 사이로 촘촘한 바퀴살들이 뻗은 문수만 작가의 [시간의 문]은 마치 태양처럼 보인다. 그것은 인간 이전에도 있었고 인간 이후에도 있을 영겁회귀의 궤도를 돈다. 이러한 우주적 차원의 사건은 지상에서도 반복된다.

His works have lots of layers, in this exhibition, they carve the layers of overripe time just like excavated relics. Some of them came up from the bottom, it can be expressed as the stratum of time. They do not merely disappear behind time and space. Because new flesh appears as old bark disappears. The relation among the layers up and down of the works essentially give latent motion to the painting work in acrylic on the canvas.

서양화가 문수만(洋家 ムンスマン,文水萬)의 작품에는 수많은 층이 있었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발굴된 유물같이 흐들흐들한 시간의 겹을 각인한다. 밑에서 올라오는 것도 있으니 시간의 지층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겠다. 그것들은 단지 시공간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만은 아니다. 오래된 껍질을 사라지면서 새로운 속살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작품 속 위아래 층들의 관계는 본질적으로는 캔버스에 아크릴로 그린 회화인 작품에 잠재적 운동감을 부여한다.

Some rise and some sink. Round shape has a sense of order, however the lines that continue while they look like being discontinued are the factors that disrupt sense of order. Straight shapes become dusts. Entropy(degree of disorder) increases. [Klopfen], which includes the meaning, a work made by beating, repeats circles in circles including 8 circles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central layer, the outer circle, the biggest circle, operates a power to disrupt stability inside the world of circles.

어떤 것은 떠오르고 어떤 것은 가라앉는다. 둥근 형태는 질서감이 있지만, 겹과 층 속에서 끊어질 듯 이어지는 선들은 질서감을 와해시키는 요소이다. 반듯한 형태들은 먼지로 화하고 있다. 엔트로피(무질서도)는 증가하고 있다. 두들겨서 만든 작품이라는 의미를 담은 [Klopfen]은 중간층에 대칭적으로 배열한 8개의 원을 포함하여 원 속의 원을 반복하는데, 가장 큰 원인 작품의 외곽은 원들의 세계에 내재한 안정감을 와해시킬 수도 있는 힘이 작동한다.

△Sunyoung Lee(Art critic)/이선영(미술평론가)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