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약 10년간 약 5500억원을 투입해 출퇴근에 이용할 수 있는 무인비행기(드론)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2030년에는 다목적 무인기, 분리·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7일 정부과천청사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는 자율주행기술이 탑재된 드론과 수상, 해저용 무인잠수함과 선박을 기술을 세계 3위로 끌어올리고 일자리 9만2000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내년에 120억원 규모의 무인이동체 핵심기술개발 R&D를 우선 지원하고, 향후 10년간에 걸쳐 555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고 말했다.

드론이나 자율주행차와 같은 무인이동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로 부상했다. 기계가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센서·통신·소재 기술 등이 요구 된다.

국내 드론이나 무인이동체 관련 원천기술은 수입해 사용했지만 무인이동체 시장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정부차원에서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키우겠다는 의도다.

이진규 차관은 "무인이동체는 혁신성장을 가장 먼저 가시화할 분야다"라면서 "과기정통부는 산·학·연·관이 필요로 하는 무인이동체 핵심기술을 개발·공급해 4차 산업혁명의 견인자와 조력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 성능 고도화에 필요한 공통핵심기술을 공급하고 유사·중복 개발을 방지해 연구개발(R&D)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통근용 개인드론, 육상-공중 분리합체형 무인이동체, 해양-공중 협력 플랫폼, 해저관리용 수중 무인이동체 등 미래형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정부는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핵심 기술에 탐지·인식,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이동,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등을 꼽았다.

▲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기술.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 앞으로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5대 용도별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심해저나 험지, 고고도 등에 사용될 '극한환경형', 개인 수요와 편의에 최적화된 '근린생활형', 로봇기술을 결합해 작업효율을 극대화한 '전문작업형', 다수·다종 무인이동체간 통합운용이 가능한 '자율협력형', 여러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형' 플랫폼이 각각 만들어진다.

▲ 드론에 탑재된 기술.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극한환경형'으로는 장기운용 수중 무인이동체(개발목표연도 2027년), 지하공간 탐색 육상 무인이동체(2027년), 생체모방형 무인항공기(2029년)가, '근린생활형'으로는 배송용 드로이드(인간형태 로봇, 2023년), 통근용 개인드론(2024년), 연안운항 무인수상정(2024년)이 각각 개발된다.

'전문작업형'으로는 로봇드론(2026년), 전문작업 육상무인이동체(2027년), 심해작업 무인잠수정(2027년)이, '자율협력형'으로는 농업용 군집 무인이동체(2024년), 모선-자선형 군집무인이동체(2027년), 재난용 군집 무인이동체(2029년)가 만들어진다.

이 중 '군집 무인이동체'는 여러 대의 무인이동체가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함께 움직이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서 작업을 하는 드론 여러 대를 운용하는 기술이다.

'융·복합형'으로는 무인선-무인잠수정 복합체(2028년), 수송용 육공분리합체기(2029년), 잠수가능 무인기(2029년)가 개발된다.

'분리합체기'는 무인자동차, 무인선박, 무인잠수정, 무인항공기 등이 서로 분리되거나 합체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을 올해 세계 7위에서 오는 2022년 6위, 2030년 3위 수준으로 점차 끌어올리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지난해 2.7%에서 2022년 7%, 2030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