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금융감독원

올해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총 174개사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법정관리 등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사실상 퇴출수준인 D등급을 맞은 기업은 113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많았던 지난해 176개사보다 두 곳이 줄었지만, 여전히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이다.

자동차·조선 등 전방산업이 부진해지면서 자동차부품과 기계업종 업계는 부실이 크게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5일 ‘2017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올해 구조조정 대상(C등급 61개·D등급 113개)은 176곳으로 지난해보다 2곳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코스닥 상장사도 1곳 포함돼 있다.

2011년 77곳이었던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은 서서히 늘어나다가 2015년 175곳, 2016년 176곳 등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는 지난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12곳의 한계기업을 정리했던 2009년 이후 가장 컸다. 올해는 2곳이 줄었지만 비슷한 수준이다.

올해 중소기업 리스크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평가기준을 강화한 결과 세부평가대상은 전년 대비 240개(11.8%) 증가한 2275개사로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 취약기업이 많은 업종인 부동산, 도매·상품중개 등 평가대상을 채권은행 신용공여 50억원 이상에서 30억원 이상으로 확대했기 때문이다.

▲ 자료=금융감독원

올해는 부실 징후가 있지만,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 중소기업은 61곳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10곳 줄었다. 이들 기업은 신용위험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개월 내로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경영 자구안을 제출해야 한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어 사실상 '퇴출 대상'인 D등급 기업은 113곳으로 지난해보다 8곳 늘었다. D등급 기업은 채권은행의 추가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하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가야 한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제조업이 26개사로 가장 많았다. 금속가공품제조업(23개), 자동차부품제조업(16개), 도매·상품중개업(14개), 부동산업(11개)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자동차부품 업종은 지난달보다 11개사가 늘었고 기계제조업 7개사가 늘어나는 등 가장 큰 폭으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증가했다. 이는 자동차 및 조선 등 전방산업의 부진이 전이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도매·상품중개와 부동산 등 일부 내수업종도 지난해보다 각각 6곳과 4곳 늘었다.

반면 전자부품이나 전기장비, 고무·플라스틱업종 등은 글로벌 경기회복 등의 영향으로 부실기업 수가 작년 대비 각각 10곳, 6곳, 6곳씩 줄었다.

조선·해운·건설은 지난 수년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 덕택에 구조조정 대상 기업 수가 7곳으로 작년보다 9곳 감소했다.

금감원은 “중기벤처기업부 등과 업무협약에 따라 구조조정대상 기업 중 중기부의 재기지원사업별로 적합한 기업을 추천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지속가능 중소기업(A·B등급)에 대해서도 금융지원과 컨설팅 제공 등을 통해 조속한 경영정상화 및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자료=금융감독원

한편 9월 말 기준으로 금융회사들이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에 빌려준 자금 규모는 1조6034억원으로 지난해(1조9720억원)보다 줄었다. 은행권이 1조3704억원으로 85.5%를 차지한다.

은행들이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기업 부실에 대비해 더 많은 대손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번 신용위험평가로 은행들이 추가로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 규모는 3150억원이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시 6월 말 기준 BIS비율이 15.38%에서 15.34%로 0.04%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