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가계대출 규모가 3년 새 2배로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박근혜 정부 시절 ‘빚을 권하는 정책’을 펼칠 때도 꾸준히 늘었고, 지난해 말부터 ‘빚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자 다시 늘어났다. 다만 증가폭은 지난 3년에 비해 주춤했다.

▲ 상호은행 및 저축은행 대출잔액 추이. 자료=한국은행, 저축은행중앙회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월 말 기준 20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8% 증가했다. 지난 7월 말 전국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처음 20조원을 돌파하더니 3년 사이 2배 규모로 늘었다.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규모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부실사태 등으로 제자리걸음을 하다가 최근 3년 새 빠르게 증가했다. 2015년 들어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고 금융권 가계대출이 쉬워진 탓이다.

2014년 9월 9조5000억원이던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2015년 12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이후 206년 17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정부가 은행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서 대출 규제를 강화하자, 저소득층과 저신용자를 중심으로 저축은행 대출이 늘어나기도 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올해 3월부터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전 상호금융권으로 확대했고, 지난 6월부터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해졌다.

2015년 3분기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직전 해 대비 33.7% 늘은 12조7000억원을 기록했고, 2016년 3분기에도 35.4%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 증가 폭이 19.8%로 조금 낮은 편이다.

저축은행을 주로 이용하는 서민층은 금리 인상기에 상환능력이 떨어져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지난 9월 저축은행의 신규취급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14.4%로, 예금은행(3.41%)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전체 가계부채(약 1400조원)의 1.4%에 불과하지만, 가계부채의 취약고리로서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은 주로 저신용자나 서민층이 이용하기에 금리가 인상하면 경제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지난 9월 저축은행 신규취급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14.4%다. 예금은행 평균 금리인 3.41%보다 4.4배 높다.

저축은행 외에도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도 늘어나는 모습이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신용협동조합의 가계대출 규모는 9.2% 늘어난 37조9000억원이었고 새마을금고의 경우 20.7% 급증한 71조6000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