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시대가 되면서 농촌 노인들의 기능장애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기능 장애는 노화로 인해 심폐기능과 소화기능 등에 이상이 생기는 현상을 뜻한다. 기능장애 노인들은 문제 발생 시 빠른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농촌의 의료 인프라는 열악하다. 전체 종합병원 중 6%만이 농촌에 위치하고 있고, 지역응급의료기관 가운데 농촌에 위치한 기관은 20%가 채 안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경제적 빈곤 이외에 농촌 주민들이 생산자임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먹거리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이 기능장애 노인들의 증가 요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따라서 마을공동급식이나 거동불편 노인들을 위한 식사배달 서비스 등으로 농촌 노인들의 건강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농촌 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 및 정책과제’를 주제로 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하고 농촌지역 허약노인에 대한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농림부는 농촌 지역이 경제적 열악함으로 인해 노인 빈곤과 질병이 심각하다는 분석결과를 내놓고 있으나 의료 인프라 자체도 부족한 것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국내 종합병원 중 6%(20개)만이 농촌에 소재하고 있고, 지역응급의료기관 329개 중 62개(19%)만 농촌에 있다고 밝혔다. 병원 수 대비 인구 수도 농촌이 1879명, 도시는 1232명으로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성주인 박사는 “농촌 주민 중 네 명 중 한 명은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적시에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렵다”고 분석하고 “수도권, 광역시, 충청권 농촌은 응급의료서비스가 발달했지만 다른 지역은 공급이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복지서비스 인프라인 방문요양기관도 도시는 1개 시당 53개였지만 농촌은 1개 군당 15개 수준이다. 노인들의 경우 의료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 연계를 통해 종합적인 건강 관리가 필요하지만 농촌을 이를 실현할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 경남 거창군 임실마을의 마을공동급식 장면(출처=거창군 공식 블로그)

전문가들이 농촌의 의료 소외 원인으로 지적하는 경제적 빈곤 이외에도 심각한 요소는 ‘먹거리 소외’ 현상이다. 농촌이 농산물의 주생산지이지만 정작 이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과 어린이들은 신선한 식품보다는 인스턴트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농촌사회학자이자 한신대 강사인 정은정 박사는 “농촌일수록 안전하고 깨끗한 먹거리에 접근하기 쉽지 않다. 초록마을이나 생협도 농촌에는 없다”며 “독거노인이거나 조손가정의 노인인 경우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해 빵이나 라면 등을 먹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자체 중에 전남 나주시는 의료복지와 먹거리 문제를 연결해 건강서비스를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나주시는 매년 농업인 마을 공동급식으로 160개 기관에서 4억 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 또 나주시는 경로당 주ㆍ부식 지원 정책으로 568개 기관에서 7억 7000만원을 집행해 왔다. 거동불편 노인들을 위한 식사배달 사업에도 5억 4000만원이 매년 쓰이고 있다.

경남 거창군에서도 농번기인 매년 4월부터 11월까지 마을공동급식을 실시한다. 농번기 농작업을 하다가 노인들이 식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거창군은 각 면마다 평균 10개 마을에 공동급식 지원을 하고 조리인력 인건비와 주식비와 부식 등을 지원한다. 거창군 관계자는 "마을공동급식은 바쁜 농번기에 식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길일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건강 보장에도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고 설명했다. 

정은정 박사는 “농촌 인구가 줄어들면서 제대로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마을 단위의 가게가 줄어든 것도 문제”라며 “식사를 잘 챙기기 어려운 노인을 위해 마을 공동급식을 하는 것도 큰 틀에서 건강ㆍ의료 차원의 복지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