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신약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는 종합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여재천 전무 사진=유수인 기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신약조합) 여재천 전무는 11일 신약조합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신약개발의 목적은 인류의 건강증진과 새로운 질환의 치료다. 다국적제약기업들은 4차사업 혁명의 무한경쟁력을 얻기 위해 기존과 다른 패턴의 신약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 전무는 “기술 발전으로 약가가 비싸도 치료기간이 짧아져 수명연장, 의료기관 및 메디컬 서비스 이용 감소 등 사회적인 기회손실비용이 줄어들고, 보험재정이 절감되고 있다”면서 “그런데 국내 제약산업은 약가 규제 등 건강보험 환경이 열악해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 전무에 따르면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을 통해 다국적제약기업이 탄생해 국부가 창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제약산업의 R&D 규모도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 의약품 시장은 2011년 11위에서 지난해 13위로 하락했으며, 신흥제약시장을 뜻하는 '파머징 국가'인 인도는 상위권으로 성장했으며, 러시아 또한 점차 상위권에 진입해 국내 제약시장을 추격하고 있다.

여 전무는 “한국의 바이오 R&D는 세계 10위 경제국이라는 지위에 걸맞지 않게 예산이 2조원도 안 된다”면서 “형편상 많은 돈을 쓸 수 없다면 투자 대비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BT 컨트롤타워 설립해 국가예산과 자원 합리적 배분 실현해야”

정부의 임상지원 절대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투자 여력이 부족한 국내 기업들은 임상시험을 거쳐서 글로벌 마케팅에 성공하는 신약개발보다 기술수출이라는 전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특히 글로벌 혁신신약개발의 과반수 이상은 바이오 스타트업이나 대학교의 연구로부터 도출되고 있기 때문에 대학과 연구소가 보유한 초기 물질에 대한 최적화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의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여 전무는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BT(Bio Technology) 분야의 종합 컨트롤타워 설립을 제시했다.

그는 “설계자 역할을 하는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종합 컨트롤타워 설립은 향후 도래할 바이오 경제시대를 대비하는 필연적 업무 효율화 방안”이라고 강조하면서 “정부가 바뀌면서 흔들리는 신약개발 예산지원 프로젝트보다 국가예산과 자원을 우선순위로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신약개발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야 글로벌 시장에서 신약개발 선진국과 동반자로서 생존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 “제약시장은 혁신신약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바이오 스타트업과 제휴하고, 기술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질환분야에 자금을 투자하면서 자사 신약이 나오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글로벌 신약을 착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대규모 온오프라인 기술이전 메커니즘 활성화와 사업화 지원을 위한 지원에 착수하면서 정부 주도의 BT 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과기부는 유망기술과 사업테마를 도입하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후속 상용화 R&D 부담 완화, 기술이전 활성화 지원을 위해 ‘바이오분야 기술거래 파트너링 후속 R&D 사업’을 본격 지원하고 있다. 과기부는 최근 올해 상하반기 과제 공모를 해 상반기 3개 과제, 하반기 5개 과제 등 총 8개 과제를 선정했다. 지원 범위는 ▲이전된 기술의 상용화 R&D를 통한 기술의 업그레이드 ▲상용화 시제품 개발 및 성능(또는 효능) 검증 등이다. 과제당 연간 2억원씩 최대 2년간 지원되며, 정부출연금의 규모는 총 32억원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