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100㎝

 

Although it is made in single form, it is filled with memory, life, and symbolism. Park redefines the essence of these squares and makes subtle changes. His Korean papers look like to make squares and their changes speak in silence. These Korean papers, which occupied Park's art world, are made to be placed on the canvas with no constraint by the squares.

단일한 형태이면서도 그것은 기억으로, 생명으로, 감동으로 그리고 상징으로 가득 차있다. 박동윤은이사각의심부를새롭게정초하면서은밀한변이에추파를보낸다. 색이면서 동시에 한지인 그의 색들은 사각과 사각의 변신을 마치 침묵으로 말하게 하는 것 같다. 서양화가 박동윤의 작품세계를 사로잡고 있는 이 한지는 사각으로 하여금 어떤 제약도 없이 화면 속에 자리 잡게 한다.

 

▲ 227×80㎝

 

Indeed, there is no eye from which to be interrupted and there is nothing to make weak the forms of manifest squares. The squares are melted in the medium of the Korean paper; the materiality of this medium makes the paper fixed. Or,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paper gives birth to the squares.

실제로 그 어느 것도 시선을 방해하지 않으며 드러난 사각의 형태를 약화시키지도 않는다. 사각형들은 한지의 질료 속에 녹아 있고, 한지의 물성은 사각형들을 고정시키고 있다. 혹은 한지가 사각형들을 태어나게 한다고도 볼 수 있다.

 

▲ Affectionate Things, 227×110㎝ Hanji on Canvas, 2009

 

In this way, the squares can escape from the ideology of modernism. In the place in which an iconography disappeared, materials are replaced: It seems that the squares changed into materials.

마침내 사각형은 과도한 모더니즘의 관념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서서히 도상이 사라진 자리에 대신 질료가 자리한다. 사각형이 질료로 변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 박동윤((朴東潤)작가

 

Thus, Park's painting becomes a vessel containing an energy made by the artist's memory and his choice of materials. In this way, mentality and the material become one unit. The canvas where a sense of unity existed there is something which is beyond the materiality. Encouraged by something, viewers stand in front of Park's artworks.

박동윤 작가의 회화는 작가의 기억과 질료가 만들어내는 에너지를 받아 담는 그릇이 된 것이다. 정신과 질료는 이렇게 해서 내적인 일체감을 만들어 낸다. 일체감의 화면, 즉 그것은 물질 너머에 있는 그 무엇이다. 그 무엇에 이끌려 감상자는 작품 앞에 서게 되는 것이리라.

△Yoo Kun Oh(Art Critic)/유근오(미술평론)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