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묵음(默吟, Poetry with Silence), 65×91㎝ Chinese ink Silica Sand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2017

 

It is at once a painting and a sculpture. The thick layer of stone powder is black and material, creating forms and lines to form matiere and forming tangibility on the surface. This become a skin, a surface one wants to feel with hand. This seems to be a choice of material based on an awareness that ink alone lacks materiality. The surface, under lighting, shines in response to the perspective of the viewer, flow of the body, and the passing of time.

화면은 회화이자 동시에 조각적인 요소를 지니면서 다가온다. 두툼하게 발려진 돌가루(금강사)는 검은 색이자 물질이고 특정 형상, 선을 만들면서 동시에 마티에르를 형성하고 촉각적인 상태를 표면에 만든다. 그것은 손으로 더듬고 싶은 피부, 표면이 된다. 아마도 이는 수묵만으로 전달하기에는 물성의 힘이 약하다는 인식에 기인한 재료 선택인 것 같다. 동시에 그 표면은 조명을 받으면 빛을 발하면서 관자의 시선, 육체의 흐름, 시간의 추이에 조응하며 발산한다.

Jeonghwan Kim’s paintings allude to the aesthetics of thumb-sized seal engraving, or to the black-white contrast seen in traditional calligraphy. Some of it is no doubt from the artist’s diverse experiences. Kim, from an early age, has practiced calligraphy, later expanding to seal engraving, calligraphic criticism and painting.

김정환 작가의 화면은 마치 전각의 작은 사각형 안에서 구현되는 방촌의 미학이나 서예에서 엿볼 수 있는 검은색과 여백의 미감을 연상시킨다. 그것은 작가의 다양한 이력에서 연유하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서예를 했고 이후 서예작가를 위시해 전각 및 서예평론, 회화작업 등으로 영역을 넓혀온 이다.

 

▲ 117×80.5㎝

 

Currently, Kim practices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upon which he bases his abstract painting. Of course, this is no mere application of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what is instead found is a unique formative perspective which embodies an Asian aesthetic theory and awareness of artistic issues at hand.

현재 그는 서예와 전각을 기본으로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추상회화를 시도하고 있다. 여기에는 단지 서예와 전각을 응용한 특정한 조형행위에 머물지 않고 그 저간에 자리한 특유의 조형론, 동양의 예술론 등에서 길어 올린 문제의식을 대상화하면서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는 인상이다.

The artist imbues ‘black’ with significance and ruminates various meanings of hyun (black) – its linguistic significance network. Here, the aesthetics of ink forms the central axis. Also significa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ainting (letters and painting, poetry and language) which is deemed important in Asian painting theories. In Oriental culture, especially in Oriental painting, letters and pictures are not separated. However, in modern age, letters and paintings have been divided into separate worlds.

작가는 무엇보다도 검은 색에 의미를 부여하고 ‘검을 현’이 지닌 여러 뜻, 그 문자가 거느리고 있는 언어적 의미망을 반추시킨다.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수묵의 미학이 중심축일 것이다. 동시에 동양화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언어와 회화의 관계(문자와 그림, 시와 언어) 또한 중요해 보인다. 동양문화권에서, 동양화에서 그림과 문자는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근대 이후 문자와 그림은 별개의 세계로 나뉘었다.

 

▲ 91.5×65.5㎝

 

The title of Kim’s latest work is Muk-eum, which means ‘silent reading of poetry.’ His paintings make images out of the marks of letters, of the place of poetry. Image and writing form an interactive relationship and complement each other. In old paintings, image and letter always coexisted in the same frame. The world we encounter, experience and reminisce cannot stand with letters or image alone. Jeonghwan Kim’s simple black-and-white composition makes a mark of that something, as if painting, writing or engraving. This makes the viewer suspect– indeed imagine–a part of letter, a segment of a seal, or a part of a painting.

이번 근작의 제목은 <묵음(黙吟)>이다. 묵음이란 ‘소리 없이 시를 읊다’라는 뜻이다. 그의 그림은 문자의 자취를, 시의 자리를 이미지화시킨다. 이미지와 문자는 상호보조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간다. 옛 그림을 보면 이미지와 문자는 항시 화면 안에 공존하고 길항했다. 우리가 접하고 경험하고 추억하는 세계는 이미지만으로, 문자만으로 자립하기 어려운 세계다. 서양화가 김정환은 흑백의 단순한 구성을 통해 마치 그리듯이, 쓰듯이, 새기듯이 무엇인가를 흔적화 했다. 그것은 문자의 어느 한 부분을, 전각의 어느 한 파편을, 그림의 어느 한 부위를 추측케 한다. 상상하게 한다.

Jeonghwan Kim, a master of calligraphy, seal engraving, calligraphy criticism and painting, seeks to cover all those grounds and take on the challenge himself. The latest work is a worthy product of such efforts.

김정환 작가는 서예, 전각, 서예평론, 회화를 두루 관통해 온 이로서 그 모두를 아울러서 앞서의 과제를 구현하려 한다. 최근작은 그에 따른 의미 있는 결과물로 보인다.

△Youngtaek Park (Professor, Kyonggi University, Art Critic)/ 글=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