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묵음(默吟, Poetry with Silence), 112×162㎝ Chinese ink Silica Sand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2017

 

Jeonghwan Kim’s paintings are simple; they consist of parts taken up by black material and the rest – what could be referred to as blank space. Such minimalist composition, made up of painted area and the rest of paper which is deliberately, coincidentally and inevitably left unpainted, divides the quadratic surface into various pieces.

서양화가 김정환의 그림은 검정색의 물질이 점유하고 있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 이른바 여백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종이위에 칠해진 영역과 칠해지지 않고 의도적으로, 우연적으로 불가피하게 남겨진 영역으로 형성된 이 미니멀 한 화면은 주어진 사각형의 평면을 다양하게 절개하고 있다.

The dark material (black) which covers a significant area of the work seems like a grand movement of energy and flow; or is it an attempt at an expression of some form, or a part of a letter? There is no fixed formation; only smoothing over.

화면의 상당부분을 시커멓게 덮고 있는 검은 물질(검정색)은 거대한 흐름, 기운, 운동의 경로 같기도 하고 특정 형상을 남기려는 시도 같기도 하고 문자의 부분 같다는 인상을 준다. 동시에 그 어느 것으로도 확정되지 않고 미끄러진다.

 

▲117×91㎝

 

Above all, the painting exudes an aesthetics of compression and restraint, delivered only though blank, unpainted space, power and significance of black material filling the surface, and the simple monochrome composition which embraces it all.

무엇보다도 이 그림에서는 칠해지고 남겨진 부분, 화면을 채운 검은색의 물성이 주는 힘과 그 색채의 의미,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오로지 단 하나의 색, 흑백의 구성만으로 전달하는 압축과 절제의 미학 같은 것들이 숨을 쉬고 있다.

The black material fills and covers parts of paper with resolution; natural marks are left behind where the black material didn’t quite get to.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is pasted onto a canvas three times to create a ‘tight’ picture of tension. Then the artist applies traditional ink which has been aged for more than a month (toemuk) for base painting.

종이의 일정 부분을 검은 물질이 단호하게 채우고 덮어나갔고 미처 다 메우지 못하고 남겨진 공간에 생겨난 자연스런 흔적이 그 사이 어딘가에 자리한 그림이다. 김정환 작가의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캔버스에 한지를 3차례 붙여 긴장감 있는, ‘짱짱한’ 화면을 만든 후에 그 위로 한 달 이상 삭힌 먹물, 이른바 퇴묵으로 밑그림을 그렸다.

 

▲100.5×80.5㎝

 

Then stone powder is applied using binder to complete the painting. So the painting consists of two layers. First, ink becomes one with the paper layer; followed by another layer of material of consistent thickness. These layers are separate, but at once seems like one layer. At the bottom of the layer covered by solid and powerful black material, ink inevitably stains and spreads to form a stark contrast with the material above.

그런 후에 돌가루(금강사)를 바인더로 붙여서 완성을 한다. 따라서 화면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한지의 표면과 일체가 된 수묵과 그 위를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면서 뒤덮고 있는 물질의 층은 이원적이면서도 마치 하나의 층 인 것처럼 보인다. 단단하고 힘 있는 검정물질이 덮고 있는 층의 바닥에는 먹의 번짐이나 얼룩이 불가피하게 배어나오면서 그 윗면의 물성과 극적인 대비를 이루고 있다.

The contrast between artificially and boldly painted sides and the accidentally and naturally created marks! It creates a sense of situation which seems as though the heavy material is pressing the ink to spread. Such aspect creates a drama, a narrative out of the canvas.

인위성으로 단호하게 칠해진 측면과 우연적,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자취의 대조! 마치 무거운 물질이 누르고 있고 그 압력으로 인해 먹물의 얼룩, 번짐이 밀려나오고 있다는 모종의 상황성을 안겨준다. 그러한 측면이 이 화면에 드라마, 서사성을 부여한다.

△Youngtaek Park (Professor, Kyonggi University, Art Critic)/글=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