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ace-Arrow990A-P, 70×50㎝ Aquatint, 1999

 

As Park gradually freed from realistic depiction, this artist has changed his established techniques and formalistic quality for a "new" and "creation". Nonetheless challenge always entails an adventure, whether it is experienced or not. Park's return to plane work in terms of his artistic formation cannot be judged yet.

박동윤(朴東潤)작가가 한국적인 미의 인상을 묘사중심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게 탈바꿈하고 있듯이, 예술가에게 있어 새로움에 대한 창조와 표현은 기법과 형식까지도 바꾸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경험하였거나 혹은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한 도전이나 실험은 어느 정도의 모험을 수반한다.

 

▲ Affectionate Things2001-M, 60×30㎝ Etching&Aquatint, 2001

 

In view of this, we can say that he still stand in the grey zone in terms of experimentation and adventure. However, when we consider his affection and commitment to art, move from pluralistic to uniquely his own world can be translated into as the development of his world view.

그런 점에서 그는 흔히 예술가들이 직면하게 되는 실험과 모험의 비무장 지대에 서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그의 작품에서 읽을 수 있는 열정이나 집념으로 보아 복수의 예술에서 독자적인 미술로의 이행은 그로서는 세계관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 Affectionate Things2001-E, 85×60㎝ Etching&Aquatint, 85X60cm, 2001

 

Early on, Oldrich, art philosopher, said that it was not an artist's way to refresh the primary material in art but that of craftsman. For artists, the most valuable concerns are not in media, but in content and in form, which means their focus on the theme.

일찍이 예술철학자 올드리치는 예술의 제 1차적인 재료에 생기를 부여하는 것은 예술가의 길이 아니고, 그것을 바치는 의무는 공인(工人)에게 있다고 하였다. 예술가에게는 그가 다루는 매체가 문제가 아니고 그것에 내용과 형식, 즉 주제를 어떻게 형상화하는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 2000년대 초반 박동윤 작가

 

Probably, now he arrives at the point to transcend craftsmanship which caused by material limitation of print. Now he tries to show his use of creative technique and formal language. By revealing more direct sentiment of his and using various incorporations of media, now he has an opportunity to show images formed in his mind.

어쩌면 서양화가 박동윤은 이제 판화라는 다분히 재료의 속성과 한계에 구속을 받게 되는 장인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기법과 언어로 자신을 용기 있게 드러낼 수 있는 지점에 도달 해 있다. 그리하여 보다 직접적인 감성과 거침없는 재료들의 결합으로 그가 구현하고자 했던 이미지들을 밀도 있게 펼쳐 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Kim, Chong-keun|Art critic, Professor, Hongik University/김종근(미술평론가, 홍익대 겸임교수)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