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ace-Arrow990B-P, 70×50㎝ Aquatint, 1999

 

Certainly, his style is changing now. If his intention was in depicting objects realistically in print, then his recent work in oil painting can be said as reduced one by incorporating with his sentiment to form another abstract one.

박동윤(朴東潤)작가는 변화하고 있다. 그가 판화에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면, 최근 유화에서는 그 대상들을 작가의 감정 속에 용해되어 다른 추상적 형태로 전환시킨다는 것이 특징이다.

 

▲ Affectionate Things9905, 70×50㎝ Aquatint, 1999

 

That is, refined composition with informal forms, freely drawn lines reveals one dimensions for formalism which cannot be reflected in his print work. Probably this stylistic change toward a transformation of images and enlargement was possible because of limitation and boredom caused by the previous work.

이를테면, 비정형의 선과 형태들, 자유스러운 선에 이끌린 듯 단아한 구성들은 그의 판화세계에서 볼 수 없었던 형식주의 적인 미술에 한 면모를 강하게 드러낸다. 그의 이러한 변신 또는 이미지의 변용과 확대의 바탕에는 아마도 기존 작업에 대한 나름대로의 한계와 지루함이 그 동기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 Space-Arrow990C-P, 50×70㎝ Aquatint, 1999

 

Artists usually try to destroy the limitations and techniques of representation and this is one reason to explore another realm of genre. This is true in the case of Jean Dubuffet, Jullien Schunabel, and Georg Baselitz who had explored various media, using three dimensional work after their first work which was mainly based on the plane.

서양화가 박동윤은 언제든지 재료와 기법으로 인한 표현의 한계에 목말라하며, 그것은 또 다른 장르를 향한 욕심과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장 뒤뷔페가 유화로 시작하여 입체로 전환하였던 점, 쥴리앙 슈나벨이나 바셀리츠가 평면회화를 중심으로 작업하면서 입체나 나무 조각 등으로 매체실험을 시도하였던 점들은 모두가 그러한 표현의 갈증에서 비롯된 예술적 욕망의 표출인 것이다.

△Kim, Chong-keun|Art critic, Professor, Hongik University/김종근(미술평론가, 홍익대 겸임교수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