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유적 공간, 454.4×181.8㎝ oil on canvas, 2009

 

Lee often describes the sense of emptiness with the word “everyday.” The everyday life, in dictionary terms, is the life that repeats itself everyday. The repetitive and routine habits of getting up in the morning, going to work, and eating lunch at the set time are the shackles of life imposed on us.

이석주 작가는 공허함을 일상이란 단어로 말하곤 한다. 일상은 사전적 의미로 매일 반복되는 생활이다. 아침에 일어나 출근하고, 정해진 시간대에 점심을 먹는 등의 반복되고 관례화된 습관은 울에게 씌워진 생의 굴레이다.

 

▲ =사유적 공간, 162×97㎝ oil on canvas, 2009

 

Who can break away from the traps of everyday life? The repetitiveness of the everyday. The routine habits make us realize that we cannot be the owners of our life everyday. Thus the term “everyday” is used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situation, the sense of helplessness, emptiness, solitude and isolation felt in our repetitive life.

누가 일상의 덫에서 이탈 할 수 있을까. 일상의 반복, 관례화 된 습관은 매일의 생활에서 우리가 주체가 될 수 없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일상’이란 단어는 반복되는 생활 속에서 느끼는 무기력함, 공허함, 고독, 소외 등의 심리적 상황을 설명하는 의미로 탈바꿈된다.

 

▲ 사유적 공간, 162.2×97㎝ oil on canvas, 2009

 

For Lee, “everyday” is the signifier used to represent the signified–the psychological reactions to the mundane life. To visualize the inner meaning of the everyday, he explored the juxtaposition of the natural scenery and artificial objects and brought to the surface of the canvas the mystical world buried deep within.

서양화가 이석주에게 있어 ‘일상’이란 단어는 이런 심리적 반응을 드러내는 기의로 사용되는 기표이다. 그는 일상이 던지는 내재적 의미를 가시화하기 위해 자연의 풍경과 인공적 사물의 병치를 탐구하였고 심연 깊숙이 잠재된 신비적 세계를 캔버스 표면 위로 끌어 올렸다.

 

▲ 사유적 공간, 130.×72.8c㎝ oil on canvas, 2009

 

The mystical space created by Lee where the past and present converge, reminds one of the concept of “uncanny.” Uncanny indicates the surrealist fear or tension that overwhelms one when what seemed ordinary and habitual all of a sudden feels unfamiliar. Although Lee’s canvas is filled with ordinary objects and scenes, depaysement and air-brush create a glossily smooth surface, creating a world that seems fantastic and mystical, a world beyond.

이석주(李石柱)화백의 과거와 현재가 교차되는 신비적 공간은 정신분석학의 언캐니(uncanny)개념을 연상시킨다. 언캐니는 습관적으로 익숙하게 받아들여진 것이 어느 날 한순간 낯설게 느껴지면서 엄습해 오는 초현실적 두려움, 긴장감을 의미한다. 이석주의 캔버스는 일상적 사물들과 풍경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데페이즈망 기법과 에어 브러쉬를 사용한 매끈한 표면으로 인해 환상적이고 신비한 저 편의 세계처럼 다가온다.

 

▲ 사유적 공간, 454.4×181.8㎝ oil on canvas, 2009

 

The everyday objects and art characters, always familiar to us, suddenly feel strange, plunging us into feelings of isolation and solitude. Lacan’s view is that the sense of uncanniness originates from desire. Desire, once fulfilled, dissipates like a mirage, and we are filled wit another desire and feel deprived. Desire and deprivation stand in conflict with each other, rendering even the routine and familiar strange and unsettling, and invoking a sense of uncanniness.

우리는 습관적으로 보아왔던 주변의 일상적 사물과 미술사의 인물들을 돌연히 낯설게 느끼면서 소외와 고독의 감정에 빠지게 된다. 라캉에 의하면 언캐니 감정은 욕망에 의해 발생된다. 욕망은 성취되는 순간 신기루가 되어 저 멀리 가버리고 우리는 또 다른 욕망에 휩싸이며 결핍을 느낀다.

 

▲ 이석주 화백

 

The only thing that can stop the endless cycle of desire and deprivation is death. With death, desire ends and one is freed from deprivation. Vain and vain! Vanitas, implying the meaninglessness of desire, is the cry of someone who sees the shadow of death looming. Thus in western art history, vanitas is associated with Memento Mori, the warning to remember death.

욕망과 결핍이 연속적 순환을 끝낼 수 있는 것은 죽음뿐이다. 죽음으로 욕망은 끝나고 결핍에서 자유로워진다. 헛되고 헛되도다! 즉, 욕망의 덧없음을 은유하는 바니타스는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릴 때 내뱉는 탄식이다. 그러므로 서양미술사에서 바니타스는 죽음을 기억하라고 경고하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로 연결된다.

△Written Kim Hyeon-hwa(Professor of Art History, Sookmyung Women’s University)/김현화(숙명여대 교수,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