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유적 공간, 194×97㎝ oil on canvas, 2007

 

The lost time comes back to us every now and then, in broken pieces, in the name of memory or reminiscence. These re-visits are at times accompanied by feelings of loneliness, solitude or isolation, or heartbreaking pain or sadness. Those unable to cry out turn the meaninglessness of our vain, vain life into a sigh, hiding themselves in it.

상실된 시간은 기억 혹은 회상이란 이름으로 부스러기 파편이 되어 우리를 가끔씩 찾아 올 뿐이다. 그것은 외로움, 고독, 소외를 동반하기도 하고 고통과 슬픔으로 몸부림치게 만들기도 한다. 통곡할 수 없는 사람은 헛되고 헛된 인생의 허무를 한숨으로 만들어 그 속에 자신을 은폐 시킨다.

 

▲ 사유적 공간, 90×50㎝ oil on canvas, 2008

 

With hyperrealist methods, Le makes the viewer fell, tactilely, the innate meaning of the visual images, such as a sigh, vanity of life, or solitude. The visual must assume a certain sense of distance, but the tactile only becomes complete when there is almost no distance, so close that on can fell the sound of breathing. Thus, by stimulating the tactile, the artist no only tries to erase the sense of distance, but also sever the continuity of time.

서양화가 이석주는 극사실적인 기법을 통해 시각적인 형상이 연상시키는 내재적 의미 즉 한숨, 허무, 고독 등을 촉각적으로 느끼게 한다. 시각은 일정한 거리감을 전제로 하지만 촉각은 숨소리를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최대한 가까이 다가갈 때 완전하게 느낄 수 있는 감각이다.

 

▲ 사유적 공간, 194×97㎝ oil on canvas, 2008

 

He does not hold onto the concept of chronological continuity of time. As in the past-present-future. Lee’s clock does not point to time. Even if the hour hand and minute hand are pointing at certain numbers, its sole purpose is to suspe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phenomena and turn them into an enigma. Lee’s clock is stopped at the moment of the time freezing. At the point of freezing.

이석주 작가는 촉각성을 통해 공간적 거리감 뿐 아니라 시간의 연속성도 단절 시키고자 한다. 그는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석주의 시계는 시간을 가리키지 않는다. 혹시 시침과 분침이 시계의 숫자를 가리키고 있다 할지라도 그것은 심리적 경험과 현상을 정지시켜 신비적 수수께끼로 전환시키기 위함일 뿐이다. 이석주의 시계는 시간이 응결된 순간 응결점을 가리키며 멈추어져 있다.

 

▲ 사유적 공간, 130×72.8 oil on canvas, 2008

 

Lee has hidden himself in the canvas where time is suspended. In his canvas are fictitious people, no real people. About 20years ago he depicted himself becoming part of the urbanites in the series The Everyday. He was the main character in the paintings then. But now he is nowhere to be seen.

이석주(李石柱)은 시간이 정지된 캔버스 속에 자신을 은폐 시켰다. 이석주의 캔버스에는 가상의 인물은 있지만 현실 속의 사람은 없다. 약 20여 년 전 그는 ‘일상’이란 제목으로 연작을 하면서 도시인 속에 합류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묘사하기도 했다. 그 당시 그는 그림의 주체였다. 그러나 지금 그는 어딘가로 숨어 버렸다.

 

▲ 이석주 화백

 

In his canvas are only people of the past who trigger our imagination and sense of mystery. Where has he gone? Jacques Lacan said the entity changes place depending on the place and counter party. An existence, at times, gets revealed, hidden or hides. Ingres’ Odalisque and Vermeer’s Girl in a Turban are symbols of his absence. But ironically, the women in the paintings make us wax nostalgic for the lost time, and convince us of his existence as the painter.

캔버스에는 상상과 신비를 자극하는 과거의 인물이 주체로 드러나 있을 뿐이다. 그는 어디로 갔을까? 라캉에 의하면 주체는 장소와 대상에 따라 자리바꿈을 한다. 존재는 드러나기도 하고 은폐되기도 하며 숨기도 한다. 앵그르의 오달리스크, 베르메르의 소녀 등의 미술사의 인물은 그의 부재를 드러내는 기호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미술사의 여인들은 잃어버린 시간을 향수케 함으로써 화가로서의 그의 존재를 확인시킨다.

△Written Kim Hyeon-hwa(Professor of Art History, Sookmyung Women’s University)/김현화(숙명여대 교수,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