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유적 공간, 116.8×91㎝ oil on canvas, 2003

 

He has found the marvelous beauty of nature, even in a wild flower or a small weed. To be frank, his quiet confession touched my heart as much as did his impressive works. It is said that to be an ordinary man is much more difficult than to be an extraordinary one. It is said that to express one’s pure heart is much tougher than to tell shocking news.

작은 꽃 하나, 들풀 하나도 신기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고 했다. 그의 이야기는 그의 작품만치나 가슴에 와 닿았다. 평범하게 사는 것이 비범하게 사는 것 보다 어렵다는 말이 있다. 해맑은 심성을 지키는 것이 사람들에게 기발한 아이디어를 짜내거나 충격을 던져 자기이름을 펄럭이는 것 보다 어렵다.

 

▲ 사유적 공간, 291×218.2㎝ oil on canvas, 2003

 

It is said that to care for others is much harder than to be rude to them. Without love, how can we find meaning in our lives? I was impressed by his warm affection for life. It was a great pleasure for me to meet an artist who knows what is most important. Lee said that he wanted to portray all things in nature so as to grant them their due respect.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 그가 만나고 접촉하는 존재란 먼지나 티끌과 같을 것이다. 생명을 사랑하는 이석주(李石柱)작가의 말에 공감이 갔고 가장 소중한 것을 지키며 작업하는 화가를 볼 수 있어 즐거웠다. 어느 것 하나 소홀히 여길 것이 없는 세상의 모습을 이제는 그리고 싶어졌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 사유적 공간, 130×162.2㎝ oil on canvas, 2003

 

Perhaps this is why his latest works are more familiar and friendly for us. These days, his canvases are filled with bright and vivid images: red poppy flowers and white magnolia blossoms, lovely birds nests, affectionate brothers, and kissing couples.

그래서인지 근래에 제작된 작품은 한결 가깝고 친근하다. 근작들은 한결 명료해졌고 화사해졌다. 양귀비, 목련이 눈에 띠고 새둥지, 형제의 우애, 연인들의 입맞춤이 보인다. 한켠에는 여전히 시계, 슬픈 표정의 말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런 이미지들은 예전처럼 ‘즉자적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런 이미지들은 생명을 표상하는 임지들과 대조되어 한층 더 작품의 의미를 깊이 있게 만든다.

 

▲ 타임, 360×160cm oil on canvas 2003

 

Even so, we still find his beloved objects like flaccid clocks and sad horses, effectively contrasting with these new elements. As he has changed objects, so he is pushing his painting process. Slick and neat acrylic paintings have turned into rough and viscid oils, now layered with brown tones.

소재도 그렇지만 작업제작에서도 몇 가지 차이를 발견 할 수 있다. 재료를 아크릴에서 끈적끈적한 유화로 바꾸었고 매끈한 바탕을 오톨도톨한 표면으로 대체하였다. 갈색의 표면은 종전에 그가 보여주었던 맨질맨질하고 깔끔한 맛 대신 눅진눅진하고 촉각적인 맛을 느끼게 한다. 사실 표면을 두텁게 처리하면 사실 묘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 사유적 공간, 194×97㎝ oil on canvas, 2004

 

Why did he choose such a difficult process, its thick and irregular surfaces posing challenges to graphic description? Sukju answers that he wanted to make pictures with humanity and geniality rather than with a polished style. Clearly, he is ready to move forward and to implement his philosophy that art based in love can cure this chaotic world.

표면이 평평해야 그 위에 묘사하는 일이 수월한데 고집스럽게 번거로운 길을 택하였다. 이런 어려움을 감수하면서까지 표면의 질감에 유의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서양화가 이석주(LEE SUK JU)의 말에 따르면 ‘훈훈한 사람의 온기’를 전달하게 위해서다. 말하자면 세련미를 풍기는 화면보다 인간적인 체취를 느낄 수 있는 그림을 선택한 셈이다. 그림이 사람보다 중요할 수 없듯이 그는 온화함, 따뜻함을 전달하기 위해 신들매를 고쳐 맬 태세다. 아무리 세태가 엉클어져 있더라도 옹달샘 같은 사랑이 있으면 아름다운 세상을 조성 할 수 있다는 예술철학이 그 속에 깔려있다.

△Seongrok, Seo(Art Critic)/서성록(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