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조직 중 하나인 GM(유전자조작) 작물 개발 사업단이 해체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17일 이코노믹리뷰 통화에서 “ 시민단체 요구로 관련 부서를 해체하고, 관련 분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일반적인 연구개발 기능만 살려 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방안이 실현된다면 시민단체 압력으로 우리나라 농업 분야에서 유전자 편집 및 차세대 바이오 관련 선행 개발 사업을 해온 정부 기관의 한 부서가  문을 닫는 사례를 남기는 셈이 된다.

농촌진흥청 GM 작물 개발 사업단은 2011년 2월 ‘농업생명공학 육성계획’과 ‘차세대 바이오 그린 21 사업’에 근거해 발족했다. 이 조직은 유전자 조작에 대한 선행 연구 및 작물 시험 재배 등을 전담해 왔다.

그러나 '반GMO전북도민행동'라는 시민단체가 “국가 주도형 GM 작물 개발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면서 GM 작물 개발 사업단의 존립을 둘러싼 논란이 생겼다. 농촌진흥청은 전라북도 전주시로 이전한 뒤 이 단체의 압력을 받았다.

▲ 농촌진흥청 전경(출처=농촌진흥청 홈페이지)

'GMO전북도민행동'측은 이날 이코믹리뷰 통화에서 “농촌진흥청과 GM 작물 개발 사업단 해체와 관련된 내용을 오랫동안 이야기 했으나, 한동안 들어 주지 않았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 농업 당국의 입장이 변하고, 국회 등에서도 우리 입장을 들으면서  사안이 급물살을 탔다”고 말했다.

당초  농촌진흥청 측과 반GMO 전북도민행동 측은 17일 기자회견을 열어 GM 작물 개발사업단 해체 협약을 추진하려 했다. 그러나 농촌진흥청이 "GM 상업화를 추진하지 않는 조건으로 선행 기술 개발과 안전 관리 차원에서만이라도 일반적인 GM 연구는 지속하겠다"고 밝혀  협약이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GMO 전북도민행동 측은 완전한 연구개발 중단을 원하는데, 농촌진흥청은  사업단은 정리하더라도 연구 기능 자체는 남기려 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유전공학 분야의 한  전문가는 “시민단체가 정부 산하 기관에 요구해 하나의 부서를 해체하는 것은  매우 염려스럽다”고 꼬집었다. 그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쪽에도 GM 관련 이슈가 있는데, 농촌진흥청의 사업단 해체의 영향을 받지 않을 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