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8일 오후 4시에 ‘살충제 계란’ 전수 조사 결과를 최종 발표한다. 지금까지 67곳의 농장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 전수조사 결과는 3000마리 이상 중, 대형 농장 1200여 곳에 대한 조사를 거친 것이다. 중소형 농장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일각에서는 조사 방식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과 함께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면 닭의 질병 관리가 가능한데 수의사들의 반대 때문에 농가 도입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충남 홍성에 위치한 밀집사육형 양계장(출처=tistory.com)

농림축산식품부는 검출 결과를 발표하며 농장 명단을 정정하는 등 기초 통계에 부정확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가장 큰 원인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간의 엇박자인 것으로 지목됐다. 곽노성 전 식품안전정보원장은 이코노믹리뷰와의 통화에서 “두 부처 간에 협조가 되지 않은 사안이며, 조정자 역할을 하는 국무조정실이 전면에 나서지 않은 점이 아쉽다”고 이야기했다. 따라서 식품 안전 분야의 거버넌스를 둘러 싸고 논란이 연장될 전망이다.

‘전수 조사’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농가들이 샘플을 편의 추출해 제출한 자료로 검사가 이루어 졌다는 비판도 있었다. 우선 조사 과정에서 과학적 일반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작물 재배지, 계란 진열 상태 등을 고려해 W자형, Z자형 등으로 농장을 선정해 추적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여러 축사에서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농가들이 몇몇 매체에 제보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검사 당국이 마을 회관으로 계란 한 판을 들고 와서 검사에 응할 것을 요구했다”는 증언이 곳곳에서 있었다. 전문 검사자가 농장을 방문해 자료를 수집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농가들이 제출한 샘플을 그대로 조사에 반영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경우 다른 농가에서 살충제 살포가 되지 않은 계란을 받아 와 조사 결과를 속일 수 있는 위험도 있다.

몇몇 농가들이 위생 때문이 아니라 산란율을 높이기 위해 살충제를 고의로 살포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양계업자들은 “농가들이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관행적인 것이다. 사료양으로도 살충제 사용 여부를 추론해 볼 수 있는데, 이가 있는 닭은 다른 닭과 먹는 물의 양이 비슷하지만, 사료를 먹는 양이 일반 수준보다 현저히 줄어든다. 이때 산란율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가 없어지면 매우 빠르게 산란율이 회복된다”고 지적했다. 사료양, 먹는 물의 양, 산란율 데이터의 추이를 확인해 보면 살충제 살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들은 “조류독감이나 구제역과 마찬가지로 축사 자동화 설비에 의해 닭이 잘 관리되고 있었다면, 대비할 수 있었던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닭의 질병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지만, 현장 수의사들의 반대 때문에 농가들이 비싼 돈을 투자해 도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는 언급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