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들이 1일(현지시간) 나흘 만에 일제히 상승했다. 주요 기업 실적호조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과 자산감축 가능성이 낮아진 것 등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인텔, 석유메이저사 셰브런, 골드만삭스와 JP모건체이스를 비롯한 은행주들의 강세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상승해 올 들어 31번째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전인미답인  2만2000을 불과 40포인트 남겨뒀다.

다우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72.80포인트(0.33%) 상승한 2만1963.92으로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6.05포인트(0.25%) 오른 2476.35에 거래를 끝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4.82포인트(0.23%) 상승한 6362.94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는 장초반부터 강세를 보였고 S&P500과 나스닥은 장초반 하락하다 반등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전인미답의 2만2000고지를 목전에 뒀다.

S&P500지수 11개 업종들 중 8개 업종이 상승했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체이스가 각각 0.74%, 1.33% 오르는 등 금융업종이 0.8% 상승했고 이어 기술주가 0.53% 오르며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산업주와 헬스케어주는 0.22% 하락했다.

기업실적과 경제지표에 주식시장은 영향을 받았다. 회계연도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애플은 정규장에서 0.89% 상승했다. 애플은 장마감후 실적을 공개했다.

기술주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한 업종이지만 최근에는 주가 가치 수준을 둘러싼 논란으로 조정을 받기도 했지만 이날 올랐다. 페이스북이 0.36%, 아마존은 0.85%, 넷플릭스는 0.20%, 구글 모기업 알파벳은 0.11% 상승했다.

미국 통신회사 스프린트는 분기 실적 호조에 11.01% 상승했다. 스프린트는 분기 주당 순이익(EPS)가 5센트로 시장 예상치 1센트 손실을 크게 웃도는 호실적을 냈다.

포드 자동차와 제너럴 모터스는 각각 2.45%, 3.39% 하락했다. 두 회사는 지난달 판매량이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8일까지 S&P 500 기업 중 3분의 2가량이 실적을 공개했으며 이 중 73%의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이는 보통 64%가량이 시장의 실적 기대를 넘어서는 것보다 호조를 보인 것이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경제의 70%가량을 차지하는 소비지출은 미미한 증가에 그쳤고 제조업 활동도 약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상부무 발표에 따르면, 6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은 전달에 비해 0.1% 증가했다. 이는 전달(0.2%증가)보다는 증가폭이 떨어진 것이지만 시장 예상치(0.1% 증가)에는 부합하는 수준으로 평가됐다. 6월 개인소득은 전달과 변화가 없었다. 전달(0.3%)과 시장전망치(0.4%)를 밑돌았다.

Fed가 금리결정을 할 때 선호하는 ‘PCE 물가지수’는 전월과 변함이 없었다. 시장 예상치도 전월과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전년 동월 대비로는 1.4% 올랐다. 전달 상승폭(1.5%)보다 낮고 시장 전망치(1.3%상승)보다 조금 높다.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지난달 0.1% 상승해 시장 예상과 일치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 상승하면서 전달과 상승폭이 같았다.

PCE 물가지수가 Fed 인플레이션 목표 연간 2% 상승을 밑돌면서 Fed의 연내 추가 금리 인상과 4조5000억달러의 자산 감축 개시 가능성을 낮추면서 증시 상승과 금값 하락에 일조했다.

지난 7월 미국의 제조업 활동은 약화했지만, 확장세를 유지한 것도 증시에 보탬이 됐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집계한 미국의 지난 7월 제조업지수는 56.3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인 56.5를 약간 밑돌았다.

지난 6월 미국의 건설지출은 시장 예상과 달리 하락했다. 미 상무부는 6월 건설지출이 1.3% 하락한 연율 1조2100억달러(계절 조정치)로 집계했다. WSJ 조사치는 0.5% 상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