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여름철엔 무좀 발병률이 높다. 무좀균이 번성하기에 딱 좋은 환경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무좀은 1년 365일 짊어져야 할 질병이다. 손발톱무좀은 손발톱이 새로 자라날 때까지 치료를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손톱 6개월, 발톱은 12개월 정도 긴 시간이 걸린다.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도 많아 재발률이 높다.

▲ 출처=이미지투데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무좀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연간 120만명 내외로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무좀은 ‘씻지 않아 생기는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해 많은 사람들이 약국에서 쉽게 살 수 있는 무좀 치료제를 주로 구입하고 있다. 실제로 대한의진균학회가 최근 국민 621명을 대상으로 벌인 '대국민 손발톱무좀 질환 인식 조사' 결과, 손발톱무좀 증상을 경험한 응답자 중 약 37%는 약국에서 치료제를 구입해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좋은 ‘먹는 약’ 보다 바르는 치료제 인기

무좀 치료제는 먹는 약(경구제)과 바르는 약(외용제)으로 나뉘는데 최근 몇 년 간 외용제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성분이 함유된 ‘먹는’ 무좀약은 모두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자신의 무좀 증상 정도와 복용하고 있는 다른 약물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 후 복용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먹는 약은 바르는 약보다 효과는 좋지만 일반적으로 두통, 구역, 복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독성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가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미다졸람 등 신경안정제나 심바스티틴 등 고지혈증 치료제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병용 약물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외용제는 경구제에 비해 효과는 낮지만 비교적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접근·사용 편의성 높인 ‘풀케어’ 복제약까지 잇따라 출시

한국메니라니의 손발톱 무좀 치료제 ‘풀케어’는 바르는 무좀치료제 시장의 지평을 연 제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2012년까지만 해도 국내 무좀 치료제 시장은 80억 원대에 그쳤는데, 풀케어가 출시되면서 무좀 치료제 시장 규모가  370억 원대로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 출처=한국메나리니 홈페이지

풀케어는 출시 첫해인 2013년부터 4년 연속 국내 손발톱무좀 치료제 부문 1위를 기록했다.
일반의약품이기 때문에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바른 후 30초 이내로 빠르게 흡수시켜 편리성을 높였다. 발톱무좀 환자 467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에서 3개월 만에 77%에서 무좀균이 검출되지 않는 등 치료 효과를 검증받았다.

한국콜마를 비롯한 제약사들은 이런 장점이 있는 ‘풀케어’의 제네릭(복제약) 제품을 잇따라 출시했다.

병원에서도 ‘바르는 치료제’ 사용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에서도 바르는 제품이 있다.

전문의약품은 플루트리마졸,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질산에코나졸 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부작용은 피부 두드러기, 발적, 홍반, 가려움, 자극감 등으로 먹는 약에 비해 비교적 경미한 수준이다.

▲ 주블리아 출처=동아에스티

최근에는 동아에스티가 지난 6월 1일부터 판매하기 시작한 ‘주블리아(Jublia, 성분명: 에피나코나졸)’가 주목을 받고 있다.

2014년 일본 카켄제약주식회사가 개발한 ‘주블리아’는 기존 국소제는 물론 주요 경구제 성분인 이트라코나졸보다 높은 진균학적 치료율을 보여 치료효과를 입증했다. 동시에 국소 작용으로 간대사 및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을 낮췄다.

동아에스티 마케팅 김지훈 부장은 "주블리아는 경구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보이면서 이미 출시된 외용제 수준으로 부작용을 낮췄다는 데 큰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블리아는 지난 201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2015년 북미지역에서 약 3억 4000만달러(한화 4048억원), 일본에서 약 199억엔(한화 2137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으며, 북미·일본 시장에서 1위 손발톱무좀 치료제로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