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잠잠했던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시장 금리가 상승 반전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지난 15일(한국시간) 미국 금리인상과 새 정부 들어 부동산 과열단속이 시작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하기에는 께름칙한 측면이 적지 않다. 주담대 금리는 이미 지난달부터 소리없이 인상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18일 국내 5대 은행의 금리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은행 신용평가에서 1~2등급인 고객들의 5년 고정금리형 주담대 최저 평균 금리는 4월말대비 우리은행은 0.22%포인트, 하나·농협·국민은행은 0.01~0.02%포인트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우리은행의 조사 대상고객의 최저 평균금리는 3.6%, KEB하나은행 3.4%, NH농협은행 3.3%,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각 3.2% 였다.

시중은행의 이같은 금리인상 시그널이 저소득이 몰려있는 제2금융권으로 전파될 경우 사상 최대규모의 가계부채 뇌관이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를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만큼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금리 인상은 더욱 속도를 낼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의 한 관계자는 “지난달 시중은행 금리가 오르면서 신용등급 4등급 이하 여신금리는 금융기관에 따라 전달대비 최대 1%가까이 격차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용등급 6등급 수준의 고객이 저축은행에서 변동금리를 적용 주담대를 받을 경우 적용되는 평균 최저 금리는 6.8% 수준이다. 이 고객이 1억원을 대출받을 경우 이자 부담액은 매월 56만7000원정도다. 문제는 최근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인상되면서 일부 저축은행의 최저 금리는 7%대 중반까지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가 1%포인트오르면 이 고객이 부담해야 할 이자는 월 10만원이 늘어나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국회 현안보고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계 전체의 추가 이자상환 부담 규모가 연간 9조원가량 늘어난다고 추산한바 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가계금융복지조사 보고서를 통해 "금리가 올라가면 저소득·저신용 계층의 채무불이행 비율은 높아질 것"이라며 "서민금융지원제도 같이 맞춤형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제2금융권으로 대출은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고 있다. 가계부채 뇌관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이유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14일 발표한 경제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4월 말 현재 대부업체를 제외한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생명보험사 등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762조286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과 비교할 때 37조7445억원(5.2%) 증가한 것이다.

이 처럼 제2금융권 대출액이 증가한 것은 저신용자에 대한 시중은행의 대출심사가 까다로워진데다, 올 상반기 부동산거래가 활발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주로 4등이하 신용등급자가 몰려 있는 제2금융권 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심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 연구위원은 “정부가 나서 가계부채 종합대책 발표를 8월 중으로 계획하고 있지만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금리 인상을 잡기에는 늦을 수 있다”며 “종합대책을 발표하기 이전이라도 미시적인 정부 대책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