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arent motive in Kim Dongsu’s works is ‘vessels.’ Still, his vessels are not superficially described containers for food in themselves, but they sit in deep sleep surrounded by the darkness. The space deeply buried invisible in the darkness feels unfathomably restful. The place beyond the darkness is probably the abyss where the root of the darkness began or life first bud out. The vessels just modestly breathe out their existence with the light flickering instant after instant.

서양화가 이동수 작품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난 모티브는 ‘그릇’이다. 표피적으로 묘사된 그릇 자체가 아니라, 어둠 속에서 깊이 잠이 든 모습으로 연출되었다. 어둠에 잠겨 보이지 않는 그 부분이 닿은 곳은 쉽게 짐작하지 못할 정도로 아늑하다. 아마도 그 너머는 어둠이 시작되는 뿌리일 수도 있고, 생명이 처음 시작된 심연(深淵)의 그 어느 곳일 수도 있겠다. 오로지 그릇의 존재감은 얼핏 지나치는 찰나의 빛을 머금고, 절제된 고른 숨결을 조용히 내뱉고 있다.

It is better to visit Lee Dongsu’s workshop to develop full understanding of his works. It is located across from Osan-ri Prehistory Museum House at OSan-ri, Yangyang-gun, Gangworn-do. It is the artist’s hometown as well as where the wetland as the remainder of an old lake by which prehistoric men lived is still well-preserved. When night comes and the sky is studded with a plethora of stars, the artist probably feels uplifted with unknown trembles as the common time evaporates in his world. His works ar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quiet trembles.’

이동수 작가의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선 그의 작업실을 방문하는 것이 낫다.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의 선사유적박물관을 마주하고 있다. 이곳은 작가의 고향이기도 하면서,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호수지역의 흔적이 습지로 고스란히 보존된 곳이다. 밤이면 온 하늘을 뒤덮은 별들이 온 몸에 스며드는 순간, 아마도 작가에겐 그 흔한 시간마저 증발되고, 미지의 설렘으로 달뜨게 될 것이다. 이동수의 작품은 그 ‘고요한 울림’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A gathered body of countless grains of time is called space or overlapped time and space. Lee Dongsu makes his best effort to catch and visualize the core of temporality in his works because ninety percent of his works are dependent on the background colors. To add depth to the background, he devotedly works on the basecoat. After almost ten times of painting in the horizontal brushing technique, drying, re-painting and finishing, the background colors are ready for further work. This work makes his oil paintings look like porcelain works.

무수한 시간의 비늘이 쌓여 한 덩어리가 된 것을 공간 혹은 시공간으로 부른다. 이동수는 작품에 이러한 시간성을 함축해내기 위해 남다른 공력을 마다하지 않는다. 작품의 9할은 바탕색이 좌우하기 때문이다. 우선 화면 배경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캔버스 밑칠작업에 심혈을 기울인다. 수평붓질과 마르는 과정 이후 다시 덧칠과 마무리 작업의 반복. 밑칠을 하고 갈아내길 적어도 열 번에 가깝게 한 다음에야 밑 색이 준비된다. 유화의 페인팅이지만 공예작품처럼 견고해 보이는 까닭이다.

 

▲ Flow Bowl, 90.9×65.1㎝ oil on canvas, 2017

 

At a glance, the background looks black, but a closer and longer look reveals mysterious qualities and fathomless depths from the color. Just as countless waves cannot substitute for the whole sea, the artists never settles down with expressions of superficial forms. It explains why his works feel as if they were ‘breathing out the immemorial light.’ They are the products of his efforts to visualize the light that holds time and space or things beyond.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e beauty of paintings in which yin and yang, come and go, and light and darkness are harmonized. Thus, I cannot but stand in front of his paintings, wondering if the light that holds winds and air first started from the darkness in Lee Dongsu’s works.

얼핏 단순한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묘한 끌림과 아련한 깊이가 색다른 매력을 발산한다. 수많은 파편의 파도 결들이 바다를 대신할 수 없듯, 이 작가 역시 표피적인 형상 표현에 안주하지 않는다. 그의 작품에서 ‘선사(先史)의 숨결’이 느껴지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사물 너머 혹은 시공간을 품은 빛줄기의 시각화에 대한 노력의 결실이다. 또한 들고 남, 음양의 교감, 빛의 조율이 빚어낸 회화의 멋을 보여준다. 아마도 바람소리나 대기를 닮은 숨결이 처음 시작(始作)된 곳이 바로 이동수 그림의 어둠이지 않을까.

△글=김윤섭(미술사 박사ㆍ한국미술경영연구소장)/Written by Kim Yoonseop(PhD in History of Art; Director of the Korean Arts Management Institutio)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