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ow Bowl, 116.8×72.7㎝ Oil on canvas, 2010

 

Allegory indirectly meant by his ceramic drawings is the world of pure mirror and tranquil water that is existent with the meditation world and also the lake and also the given emotion in the spirit of reflecting oneself in the pure and calm world of meditation. People watch the ceramics in the shape of bowl while drinking a cup of tea and reach to the recognition in the world beyond the object. Hereupon, they descend into the meditation world in the tranquil wave. From his recent works, I summarize the allegory rhetorics by LEE DONG SU as follows.

이동수 작가의 도자기들이 우의(寓意)하는 알레고리는 고요함과 평정함이 연못처럼 존재하는 명경지수(明鏡止水)의 세계, 곧 맑고 고요한 명상의 경지에서 자기 내면을 바라보는 관조의식의 감각적 소여이다. 우리는 차를 마시는 사발형태의 도자기를 바라보면서, 문득 그 사물성 너머에 존재하는 현존적 자각에 이르게 되고 이러한 지점에서 무언가 고요한 흐름 속에 내재하는 명상적 기운에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그의 근작들을 통해 필자는 이동수의 알레고리적 수사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게 된다.

1)Ceramics drawn by him call the proportional beauty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ne arts in the traditional format through time and space. 2) Ceramics drawings by him serve not only as a value of aesthetic painting in the form of tool but also signifié in the metonymy of mentality of pure sound and also formative feature of esthetics. 3) Traces of precise brushing and restrained color background represent the reality and illusionary on the horizon at the same time enlightening 'the present and here' in the perspective. 4) Realizing forms shown in his paintings make one consider the index of temporal nowness, a state being doomed to death of existence, fabrication of recognition in the Platon on the present in the past tense, and variability of stating that everything is meant to be changed.

1)그의 도자기들은 전통의 형식 속에 내재한 한국미술의 비례미와 조형적 특질을 현재의 시간과 공간으로 호출해 내고 있다. 2)그의 재현된 도자기 그림들은 단지 도구적 형태가 지닌 미적조형물로써 가치만이 아니라 심미적 형상성과 청적의 정신성을 환유(換喩)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3)절제된 색조의 배경이나 미묘한 붓질의 흔적들은 그릇의 실재성(Reality)과 관념적 환영성(Illusionary)을 동시성의 지평으로 이끌면서‘지금, 여기’라는 현존적 자각을 일깨우고 있다. 4)그의 회화에서 포착할 수 있는 재현적 형상들은 시간적 현재성을 인덱스(Index)화 함과 동시에 역설적이게도 존재하는 것들의 필멸성(必滅性), 과거의 시제 속에서 현재를 인식한다는 플라톤적 인식의 허구성(虛構性), 불변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물의 가변성(可變性) 등과 같은 문제를 되짚어 보게 한다.

 

▲ 162×130㎝, 2011

 

In this perspective, ceramics by Lee, Dong Su are not the structure of realization still-life but the conversion into the conceptual means of entering the spirit of tea ceremony and contemplation. This rhetoric of the metonymy reminds of the formative language that makes audiences enter to the meditation world through the abstract painting by Mark Rothko (1903-1970). Hereupon, spirit of the pure sound beyond the form of empty plates drawn by PAINTER LEE DONG SU are the painting in the allegory-oriented expression that reminds of the philosophical ground such as tranquility or meaninglessness.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서양화가 이동수의 도자기들은 단순한 사물의 정물화적 재현구조가 아니라 다도의 정신성, 선(禪)적 경지로 유인하는 관념적 매개체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 환유의 수사학은 마치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의 색면추상화가 관객들로 하여금 명상적 세계로 빠져들도록 유인하는 조형어법을 상기시킨다. 이렇듯 이동수의 텅 빈 그릇들이 자아내는 형태를 넘어선 청적의 기운들은 적요함, 평정함, 무상함과 같은 철학적 사유를 유발하는 알레고리적 표현의 회화적 생성체에 다름 아닌 것이다.

△글=장동광(미술평론, 독립큐레이터)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