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ow Bowl, 90×65.1㎝ Oil on canvas, 2009

 

Allegory is a type of expression in the metaphoric manner as already known. It also entails with an indirect meaning and also insinuation exhortation that are used in the literature. Recent works of LEE DONG SU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ntal issues beyond the object's characteristics in connection with allegory esthetics.

알레고리는 주지하다시피 은유적으로 의미를 전하는 표현양식을 말하는데, 주로 문학에서 사용된 것으로 우의(寓意), 풍유(諷喩)와 같은 수사법을 동반하고 있다. 이동수 작가의 근작들이 지닌 함축적 의미를 분석함에 있어서 알레고리 미학과 연관짓는 것은 사물성 너머의 정신성의 문제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Called as a bowl or cup for drinking a cup of tea at the tea ceremony, it is commonly named as a huge bowl, and it is a plate of tool for the tea. In the tea ceremony, bowl is relevant to the small universe in the sense that it is the crystal of the philosophy, consideration, and contemplation.

다도에서 찻사발이란 차를 마시는 사발(沙鉢) 또는 주발(注鉢)로 불리우는데, 다완(茶碗)이라고 통칭되는 차의 도구로서 그릇을 말한다. 다도에서는 우주를 담을 수 있고 철학과 사유(思惟)가 서린 선(禪)의 결정체라는 의미에서 사발을 소우주로 파악하기도 한다.

 

▲ 90×65.1㎝, 2010

 

Especially, seeing as how the boundary of a bowl is relevant to a figure of the dragon flying to the sky, it is called as flying line in the tradition. In addition, it was also identified as an axis of the earth holding the Samramansang if the flying line is connected to the infinity as the universe space. There is 'Hwagyung pure sound' in the spirit of tea ceremony. This means that "respecting others make us calm down in a tranquil state of mind."

특히 사발 바깥선이 하늘로 뻗쳐오르는 것이 마치 용이 하늘로 힘차게 날아오르는 것과 같다고 하여 전래적으로‘용승선(龍昇線)’으로 지칭되었으며, 이 용승선을 무한대로 이어가면 무한대의 우주공간일 수 있다고 하며 또한 발의 굽은 삼라만상을 받치는 지구의 축이라고 파악하기도 한다. 다도의 정신 중에는‘화경청적(和敬淸寂)’이 있는데, 이는“화목하여 서로 상대방을 존중하면 누구나 마음이 맑아지고 심성도 고요해진다”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청적’의 개념이다.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concept of 'pure sound.' Ceramics drawings by PAINTER LEE DONG SU can be interpreted to realize the spirit of pure sound in the painting. Comparing his realizing ceramic form as an indicator, signifié of indicators pursue to refresh the mentality of the pure sound. In other words, ceramics drawings realized by him contain the retro of the time and also recollection of the existence. However, it is regarded as a given existence that derives a concept of the pure sound as it is converted to the allegory.

서양화가 이동수 도자기 그림들은 바로 이 청적의 기운을 회화적으로 구현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의 재현적 도자기 형상들이 하나의 기표라고 본다면, 이 기표들이 지시하는 기의들은 청적의 정신성을 환기시키는 지점을 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가 재현한 도자기 그림들은 시간의 복고성, 존재의 회고성을 지니고 있지만 알레고리로 전환되면서 청적의 관념을 불러일으키는 소여적(所與的) 기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글=장동광(미술평론, 독립큐레이터)

 

키워드

#권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