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는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다소 확대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 국내경제 역시 수출과 설비투자 개선으로 완만한 성장세가 지속됐다. 물가는 1%대에서 2%대로 상승률이 올랐으며 주택매매가는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크게 가격인상이 둔화됐다.

한국은행은 28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의 통화신용정책 운영 여건에 대해 발표했다.

▲ 출처=한국은행

우선 세계경제는 회복세가 다소 확대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 미국은 양호한 고용 여건 등에 힘입어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했다. 유로지역과 일본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유지했으며 중국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국내경제는 민간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출과 설비투자의 개선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민간소비 및 수출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설비투자가 개선되면서 전기대비 0.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 출처=한국은행

올해 1분기는 수출이 반도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호조를 나타내는 가운데 설비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됐다. 특히 건설투자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성장세가 다소 확대된 것으로 판단됐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주요국 장기시장금리와 미 달러화 가치가 크게 상승했지만, 12월 중순 이후 오름세가 진정되는 등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올해 3월 들어서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 등으로 장기시장금리와 미 달러화 가치가 재차 상승했다. 하지만 FOMC 회의 이후 금리인상 가속화 우려가 완화되면서 시장이 안정세를 회복했다.

▲ 출처=한국은행

국내 소비자물가는 유가 및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같은 공급요인에 주로 기인해 지난해 4분기 1% 중반 수준에서 올해 1분기 중 2% 내외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도 다소 상승했으나 기조적 물가흐름을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은 1%대 중후반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주택매매가격은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 등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2016년 11월 이후 오름세가 크게 둔화됐다. 올해 들어서는 보합(시세 변동 않은 상태)세가 지속됐다.

▲ 출처=한국은행

국내금융시장을 살펴보면 금리, 주가, 환율 등 주요 가격변수가 국제금융시장 상황 변화 등에 영향을 받아 비교적 큰 폭의 등락이 나타났다.

장기시장금리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부각돼 주요국 금리와 함께 큰 폭 상승했다. 이후 한국은행의 국고채 매입, 통화안정증권 발행 축소 등 시장안정화 조치가 취해지면서 안정됐다.

원/달러 환율도 미국 대선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가 올해들어 신정부의 달러화 강세 경계 발언 및 보호무역주의 성향 등으로 크게 하락했다. 한편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2016년 12월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완화되면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 출처=한국은행

은행 가계대출은 주택거래량 감소, 정부의가계대출 및 부동산 관련 대책의 영향,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반면 비은행 가계대출은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