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창세기(Re-Genesis)

 

The artist is familiar with the long traditional brushstroke of the East. The feast of handwriting style brushstroke and comprehensive and multi-layers lines like straight lines is familiar to hands along with uninhibited alternation. Explosive display of the accumulation of such study in her canvas was found in the work created during her overseas study years.

이정연 작가는 동양의 오랜 전통 필법에 익숙하다. 서체적 붓놀림, 곡선을 품은 직선처럼, 포괄적이고 다층적인 선들의 향연이 농담의 자유로운 변조와 함께 손에 익숙하다. 이런 공부의 축적이 작가의 화면 안에서 폭발적으로 나타난 것이 유학시기 작품에서였다.

Upon returning from the US, the artist started to gradually show changes in the contents of painting as in her series of work since the mid 90s such as <Hope>, <Encounter>, etc. Abstract form of conflicting shapes in the paintings found their shapes as they decreased or became simplified. Although the earth color is used as the background of canvas, lines are big and fluid and both color and form display somewhat variable, consolidated and vague shapes. In her subsequent series of work <Re-genesis>, unnecessary lines and colors became minimal while prominently showing concentration on the theme.

미국에서 돌아온 작가는 90년대 중반이후 <바람(hope)>, <만남> 등의 연작을 주제로 삼고, 그림의 내용에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다. 형식은 추상이지만, 충돌적이었던 그림 속 형상들이 감소하거나 단순해지면서 그 모양새를 찾아갔다. 땅의 색이 화면 바탕으로 자리 잡지만, 선은 크고 유동적이고 색과 형태 모두 다소 가변적인, 혼합적이고 모호한 모양새를 띤다. 이후 <Re-genesis> 연작을 통해서 불필요한 선과 색은 최소한의 내용으로 수렴되어 갔고, 주제를 향한 집중력이 두드러진다.

Around 2000, the artist once again introduces an interest subject matter, which is nacre. As she used both round nacre and flat nacre discovers the fact that nacre can bring another vitality to canvas. Nacre's bright and multi-tone colors and hard texture appeared as the visualization of life surviving on the canvas of earth.

2000년 즈음 화가 이정연(李貞演, RHEE JEONG YOEN)은 다시 한 번 흥미로운 소재를 선택하는데, 바로 자개이다. 동그란 알 자개와 평평한 판 자개를 모두 사용하던 작가는 자개가 화면에 또 다른 활기를 불어넣어 줄 수 있음을 발견한다. 자개의 밝고 멀티 톤의 색채와 딱딱한 질감은 대지의 화면에 마치 생명이 살아남을 가시화하는 듯 보였다.

 

 

 

As if crossing over between rough brush mark and tactual texture, organized shape and atypical lines and the medium and technique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artist's mixed composition of canvas invalidates the meaning of boundary. Her works based on the strong force from Indian ink, calligraphy tradition of dashing off with one brushstroke, light & shade difference of Indian ink painting and purity of Western abstract painting are expressive yet restrained and simple yet intense.

거친 붓 자국과 촉각적 질감, 정비된 형태와 비정형의 선들, 동양과 서양의 매체와 기법을 넘나들 듯, 작가의 혼성적 화면구성은 경계의 의미를 무효화한다. 수묵에서 오는 강한 힘, 일필휘지의 서예적 전통, 수묵화의 농담의 차이, 서구 추상화의 순수성에 기초한 작가의 작품은 표현적이지만 절제되어있고, 단순하지만 강렬하다.

Rhee Jeong-Yeon's work starts from one stroke of strong energy. That energy dominates space and revives lines and colors, but they collided or contradicted. However, her sight and capability of various media and techniques gradually changed her work from disorder to order and from mixture to integration and from struggle to harmony.

이정연 작가의 작품은 강력한 에너지의 한 획에서 시작한다. 그 에너지는 공간을 장악하고 선과 색들을 살아나게 만들지만, 서로가 충돌하거나 상충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양한 매체와 기법의 숙련된 시간만큼 작가의 시선과 역량은 점차 작품을 무질서에서 질서로, 혼성에서 통합으로, 투쟁에서 조화로 변화시켰다.

In her work that crosses over boundary, we discover a process of change. Trans-form, trans-contents, trans-dimension and trans-quality are the pedigree of Rhee Jeong-Yeon's painting. As contents and elements that were intermixed become organized slowly or find their places, the artist? worlds of experience become integrated as the canvas become condensed and clear.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 안에서 우리는 변화의 과정을 발견하게된다. 트랜스폼(trans-form), 트랜스콘텐츠(trans-contents), 트랜스디멘션 (trans-dimension), 트랜스 퀄러티(trans-quality). 이것이 이정연 회화의 계보이다. 혼재되었던 내용과 요소들이 조금씩 정돈되거나 자기 자리를 찾아가면서, 화면은 좀 더 응축되어가고 명료해지면서 작가의 경험세계들이 통합되어간다.

△글=Jin Hwi-Yeon/Art historian, Sungshin Women's University Occidental Painting(진휘연/미술사가,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

 

키워드

#권동철